ADVERTISEMENT

대구환경청, 영풍 석포제련소 지하수 오염 원인 규명 나선다

중앙일보

입력

경북 봉화군 영풍 석포제련소 전경. 백경서 기자

경북 봉화군 영풍 석포제련소 전경. 백경서 기자

환경 당국이 경북 봉화군에 있는 영풍 석포제련소의 지하수 오염 원인 밝히기에 나선다. 만약 조사를 통해 제련소 공정 중 유출된 중금속으로 인해 지하수가 오염된 것으로 판단되면 석포제련소에 책임을 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경북 봉화군 석포제련소 지하수 오염 원인은? #공정 중 중금속 유출·이미 오염된 땅 등 다양 #대구환경청 “정밀 조사 통해 원인 규명할 것”

대구지방환경청 측은 8일 “영풍제련소의 지하수 중금속 오염 원인 등을 밝히기 위해 ‘석포제련소 지하수 중금속 오염원인·유출조사’ 연구용역 공고를 다음 주 중 낼 계획”이라고 했다.

연구용역 제안서에 따르면 대구환경청은 연구용역 업체를 선정해 6개월간 2억6000만원을 들여 석포제련소 땅속과 공장 시스템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이번 용역에서 우선시되는 사항은 제련소 내부 지하수 오염 원인 파악이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공장 내부시설을 정밀 조사해 오염물질이 유출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또 내부 시스템 현황 파악으로 오염물질 유출 가능성도 조사할 계획이다. 이미 중금속에 오염된 땅으로 인해 지하수가 오염됐는지 확인하기 위해 공장 부지 내 토양의 중금속 오염 정도도 파악한다.

석포제련소 1공장 8개소, 2공장 3개소 등 11개소에 관측정을 설치해 제련소 공장 지하수질도 조사할 계획이다. 관측정 설치지점의 토양오염도 분석한다. 오염된 지하수가 낙동강으로 유출되는지 평가하기 위해 지하수의 흐름도 조사한다.

석포제련소 폐수. [사진 환경부]

석포제련소 폐수. [사진 환경부]

이번 조사는 지난 4월 환경부 기동단속반의 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환경부는 당시 석포제련소 공장 내 바닥으로 폐수가 유출된 사항과 허가받지 않은 관정(우물) 52곳을 이용한 사항을 적발했다. 관정 안 지하수는 중금속에 오염된 상태였다.

석포제련소 측은 “1970년 석포제련소가 들어서기 전 석포제련소 자리에 동아티타늄이라는 다른 공장이 있었는데 이 공장으로 인해 땅이 이미 오염된 상태였고 지하수도 오염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 5월 환경부 관계자,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낙동강상류협의회에서는 정확한 지하수 오염원인을 분석하자는 이야기가 나왔다.

대구환경청 관계자는 “일부 환경 전문가들은 제련소 공정 중에 지하수가 오염됐을 거라고 예상하고 있지만, 석포제련소 측에서는 전에 있었던 공장이 땅을 오염시켰다는 등 다른 원인도 함께 지목하기에 명확한 오염 원인을 찾으려 한다”고 설명했다.

석포제련소는 다음달 8일 청문회를 앞두고 있다. 지난 4월 적발된 폐수 배출시설 부적정 운영 등에 따른 조업정지 행정처분 확정을 위한 청문회다. 환경부는 당시 물환경보전법 위반 등으로 경북도에 적절한 조치를 요구했고 경북도는 조업정지 4개월 처분을 예고했다. 제련소 측은 청문회에서 “환경법에 따라 수질오염 방지시설을 적정하게 운영했다”고 소명할 계획이다. 또 조업정지 처분을 할 경우 지역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과 수소가스 폭발 등 2차 환경사고 위험에 대해서도 설명할 계획이다.

석포제련소 관계자는 “폐수가 외부로 나간 적이 없고, 관정의 경우 지하수를 공업용수로 사용하기 위한 시설이 아니라 이미 오염된 지하수가 외부로 흘러가지 않도록 뽑아내는 수질오염 사고 방지시설”이라며 “대구환경청 조사와 관련해서는 성실하게 응하겠다”고 말했다.

영풍석포제련소는 1970년 경북도와 강원도가 인접한 해발 650m의 봉화군 석포면에 설립됐으며, 아연괴·황산 등을 생산하고 있다. 제련소 인근의 하천은 안동호를 거쳐 낙동강으로 유입된다.

봉화=백경서 기자 baek.kyungse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