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의안 놓고 외교전 치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는 10일 기자들에게 "중국이 고위급 대표단을 평양에 보낸 만큼 당장 표결을 고집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표결이 연기됐지만 연기 시한은 15일이라고 주장했다. 러시아에서 주요 8개국(G8) 정상회의가 열리는 이날까지만 기다릴 수 있다는 것이다.

아소 다로(麻生太郞) 외상은 10일 방일한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와 회담을 하고 안보리 결의안을 조기 채택하되 중국과 러시아가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을 확인했다. 그러나 중국은 현재의 결의안 내용이 완화되지 않는 한 거부권을 행사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결의안이 아니라 안보리 의장 성명으로 대신하자는 입장이다.

왕광야(王光亞) 유엔 주재 중국대사는 10일 오후(현지시간) 안보리 회의를 마친 뒤 자국이 마련한 의장 성명 초안을 회원국에 회람시켰다.

이 초안은 미사일이나 관련 부품의 대북 수출 금지 등 일본이 주도한 결의안 내용을 상당 부분 반영하고 있으나 결의안과 달리 구속력은 없다.

이런 가운데 교도통신은 11일 미.일 양국이 결의안 표결을 피할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북한으로 하여금 향후 미사일 발사를 완전히 유예시키고 6자회담에 무조건 복귀하도록 하는 방안이다.

미.일 양국은 현재 평양에 가 있는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부부장(6자회담 중국 대표)의 방북 결과를 지켜보되 북한의 6자회담 복귀 등 극적인 상황반전이 없을 경우 결의안 채택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일본 정부는 중국의 반대로 결의안 채택이 끝내 무산될 경우 미국과 손잡고 다른 대북 제재를 추진할 방침이라고 일본 언론들은 전했다. 아무 구속력 없는 의장 성명은 무의미하다는 것이 일본 정부의 판단이다.

뉴욕=남정호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