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파업 앞두고…정부 “요금 인상 필요”

중앙일보

입력

서울과 부산, 대구 등 전국 9개 시·도지역 버스 노조가 다음 주 수요일부터 파업에 돌입한다. 한국노총 자동차노련은 지난 8~9일 양일간 진행된 파업 찬반 투표에서 96.6%의 압도적 찬성으로 총파업을 결의했다. 사진은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에서 버스들이 줄지어 지나는 모습. 2019.5.10/뉴스1

서울과 부산, 대구 등 전국 9개 시·도지역 버스 노조가 다음 주 수요일부터 파업에 돌입한다. 한국노총 자동차노련은 지난 8~9일 양일간 진행된 파업 찬반 투표에서 96.6%의 압도적 찬성으로 총파업을 결의했다. 사진은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에서 버스들이 줄지어 지나는 모습. 2019.5.10/뉴스1

정부가 버스 노조 파업을 앞두고 시내버스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버스 요금을 올려 임금 인상에 필요한 재원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국토교통부와 고용노동부는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김현미 국토부 장관과 이재갑 노동부 장관이 주재한 합동 연석회의를 연 뒤 보도자료를 통해 “양 장관이 노선버스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버스업계의 인력 추가 고용 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추가 재원이 필요하다”며 “고용기금, 공공형 버스 등 중앙정부도 최대한 지원할 계획이나 현실적으로 시내버스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점에 입장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시내버스의 경우 수도권 지역은 최근 4년 주기로 요금을 인상했고 다른 지역도 2012~2017년 이후 요금이 인상되지 않는 등 수년에 한 번씩 요금을 인상 중”이라며 “각 지자체는 시내버스의 안정적 운행을 위해 요금 인상을 포함한 다양한 재원 마련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난 9일 한국노총 산하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에 속한 서울ㆍ부산ㆍ대구ㆍ광주ㆍ울산ㆍ충남ㆍ전남ㆍ창원ㆍ청주ㆍ경기 지역 버스노조는 오는 15일 파업을 결의했다.

총 193개 버스회사 소속으로 파업이 진행되면 1만 7900대의 버스가 운행을 중단한다. 파업 참가 인원은 3만2300명이다.

버스 노조는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수입 감소와 부족한 인력 확충을 파업 명분으로 내걸었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비상대책반을 가동하며 만일의 사태에 대응하면서 14일 2차 전국 시ㆍ도단체장 회의를 열어 지자체의 비상수송 대책을 점검한다는 계획이다.

노동부는 쟁의 조정 기간 적극적으로 중재 노력을 하고 14일 이재갑 장관 주재로 전국 지방노동관서장이 참석하는 노선버스 대책회의를 열어 대응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곽재민 기자 jmkwa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