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경제정책 “잘했다” 43% “잘못했다” 55%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수행 2년에 대해 국민의 절반이 잘했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경제정책에 대해선 부정적 평가가 우세했다. 중앙일보 조사연구팀이 문 대통령 취임 2주년(10일)을 맞아 지난 7~8일 만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주요 정책과 정치 현안에 대한 여론을 조사한 결과다.

문 대통령 취임 2년 여론조사 #“최저임금 인상 부정적” 52% #국정수행엔 “잘했다” 52%

‘문 대통령이 지난 2년 동안 국정수행을 얼마나 잘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엔 잘했다는 평가가 52.3%로 잘못했다는 답변(40.2%)보다 12.1%포인트 높았다. 직업별로는 자영업자들의 긍정 평가(38.3%)가 가장 낮았다. 55.6%가 잘못했다고 응답했다. 이들이 문 정부의 최저임금 인상과 주 52시간 정책으로 고전하는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는 호남 지역의 긍정평가(74.2%)가 가장 높았고, 대구·경북(34.6%)이 가장 낮았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관련기사

정책부문에선 경제정책에 대한 여론이 가장 나빴다. 잘했다는 응답은 43.3%, 잘못했다는 응답은 54.6%였다. 경제정책에 대한 불만 역시 자영업자와 TK(대구·경북) 에서 가장 높았다. 잘했다는 평가는 TK 지역 28.2%, 자영업자 32.2%에 그쳤다.

문재인 정부에 대한 지지도가 높은 진보 성향 응답자들도 경제정책에 대해선 상대적으로 박했다. 이들의 78.6%는 국정수행 전반을 긍정 평가했지만, 경제정책에는 13.2%포인트 준 65.4%만 잘했다고 답했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2년간의 전반적인 국정수행 평가는 답변자가 생각하는 범위가 넓고 기억이나 생각하는 시점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긍정 평가가 높아질 수 있다. 2년간의 국정 수행 조사와 최근의 트렌드를 함께 보면서 여론 동향을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최저임금 인상이 우리 경제에 미친 영향에 대해선 부정적이라는 답변(52.0%)이 긍정(45.8%)보다 많았다. 또 10명 중 8명은 지난 2년간 생활형편이 비슷하거나 어려워졌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년 전과 비교해 생활형편이 나아졌느냐’는 질문에 비슷하다(45.8%), 어려워졌다(37.2%), 나아졌다(16.6%)의 순서로 답변이 나왔다. 형편이 어려워졌다는 응답은 자영업자(62.4%)가 가장 많았고, 다음이 주부(41.0%)였다.

경제정책의 이외 정책에 대한 긍정 평가는 외교정책(60.5%), 대북정책(58.5%), 적폐청산(54.1%) 순이었다. 적폐청산에 대한 부정평가는 자유한국당 지지자(잘못했다 85.3%)와 대구·경북(60.5%)에서 가장 높았다.

김승현 기자 s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