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자괴감 느껴…동지들과 진로 심각히 고민하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유승민 바른미래당 의원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패스트트랙 추인' 의원총회 결과발표를 마치고 회의장을 나가고 있다. [뉴스1]

유승민 바른미래당 의원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패스트트랙 추인' 의원총회 결과발표를 마치고 회의장을 나가고 있다. [뉴스1]

바른미래당이 23일 4시간 가량의 마라톤 회의 끝에 전날 여야 4당의 선거법 개정안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검경수사권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합의안을 추인하기로 결정했다.

표결이 끝난 뒤 의원총회장에서 나온 유승민 바른미래당 의원은 이날 자당이 패스트트랙을 추인한 것에 대해 “굉장한 자괴감을 느끼며 당의 진로에 대해 동지들과 심각하게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이날 추인된 합의안에 대해 “당론 채택 절차를 따른 것이 아니다”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그러면서 “합의안에 대해서 찬성 12표, 반대 11표라는 결과가 나왔다. 그렇지만 3분의 2 이상이 동의한 것은 아니어서 당론이 아니다”고 덧붙였다.

유 의원은 “바른미래당은 패스트트랙 문제와 관련해서 당론이 없는 당이 돼버렸다. 당론이 아니기 때문에 정개특위 사개특위 위원들을 원내대표가 사보임 할 수 없다고 요구했고 원내대표가 그렇게 하지 않기로 했다”며 “각 특위에서 활동하고 계신 네분의 의원이 (당론이 없으므로) 그대로 표결에 임하게 될 것”이리고 했다.

의원총회에서는 당론 추인 절차와 관련 과반만 찬성하면 된다는 의견과 3분의 2이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팽팽히 맞섰지만 결국 과반 찬성으로 결정됐다. 이날 의총에는 23명이 참석한 가운데 12명이 찬성을, 11명이 반대해 1표 차이로 추인됐다.

유 의원은 “오늘 이런 식으로 당의 의사가 결정된 것에 대해 저는 굉장히 문제가 심각하고 생각을 한다”며 “선거법은 다수의 힘으로 안 된다고 했지만 당의 의사결정까지 한표 차이로 표결해야 한다는 현실에 자괴감이 든다”고 밝혔다.

유 의원은 그동안 선거제도 개편안과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검경 수사권 조정안을 함께 패스트트랙에 태우는 것에 대해 반대해왔다. 유 의원은 “앞으로 당의 진로에 대해서 동지들과 함께 심각하게 고민해보겠다”면서, 탈당 여부에 대해서는 “그 정도만 말하겠다”고 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민주평화당, 정의당도 이날 패스트트랙 합의안에 대해 의결했다. 이들 정당은 전날 연동률 50%를 적용한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는 내용의 선거법 개정안과 ‘제한적 기소권’을 부여한 공수처 설치법, 검경수사권 조정안을 함께 패스트트랙에 올리기로 합의했다. 이 합의안은 패스트트랙이 지정되는 시점부터 최장 330일 이내에 본회의 처리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이혜훈(왼쪽부터), 유승민, 하태경, 지상욱 의원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패스트트랙 추인' 의원총회 결과발표를 마치고 회의장을 나가고 있다. [뉴스1]

이혜훈(왼쪽부터), 유승민, 하태경, 지상욱 의원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패스트트랙 추인' 의원총회 결과발표를 마치고 회의장을 나가고 있다. [뉴스1]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