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팩트체크] 5G 가입 늘리려고 LTE 속도 떨어뜨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한 소비자가 페이스북에 ‘LTE 속도가 떨어졌다’고 쓴 글에 9800여개 댓글이 달렸다(오른쪽 위). 아래는 소비자 불만 사이트의 게시 글. [인터넷 캡처]

한 소비자가 페이스북에 ‘LTE 속도가 떨어졌다’고 쓴 글에 9800여개 댓글이 달렸다(오른쪽 위). 아래는 소비자 불만 사이트의 게시 글. [인터넷 캡처]

‘5G 서비스가 시작되자 LTE 속도가 떨어졌다.’

“느려졌다” 글에 공감 댓글 쏟아져 #업체 “SW장비 업데이트 부작용 #원인 찾아 해결 후 고객불만 줄어”

최근 클리앙, 뽐뿌 등 정보기술(IT) 관련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이같은 의혹이 확산하고 있다. 이달 중순 한 소비자가 페이스북에 ‘KT의 LTE 속도가 너무 느려졌다’고 쓴 글에는 댓글이 9800개나 달렸다. 대부분 공감을 표하는 답글이었다. ‘SKT와 LG유플러스의 LTE도 마찬가지’라는 글도 많았다. 소비자들은 ‘5G 가입자를 확산시키려 이통사가 의도적으로 LTE 속도를 낮춘다’ ‘3G에서 LTE로 전환될 때도 똑같은 현상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중앙일보는 KT 네트워크 담당 임원, KT 융합기술원 연구원, SK텔레콤, LG유플러스, 그리고 와이파이 관련 업체인 빅썬 권태일 대표 등 전문가들에게 LTE 속도 저하 논란에 대한 궁금증을 짚어봤다. 이를 문답식으로 풀어본다.

이달 중순 갑자기 LTE 속도가 저하됐나, 원인은.
“속도 저하가 있었다. 이달 11일부터 KT 가입자들을 중심으로 소비자 불만이 갑자기 늘어나기 시작했다. 원인은 한마디로 기지국 소프트웨어(SW) 장비를 5G 신호를 잡을 수 있게 업데이트하는 과정에서 생겼다. 5G 신호 처리는 NSA(Not stand alone) 방식이라 해서 장비 한 대 안에 LTE 신호 처리장치와 5G 신호 처리 장치를 같이 갖춘다. 통신 장비도 일종의 컴퓨터다. 작동시키려면 SW를 설치해야 한다. 통신장비 제조사에서 SW 업데이트 작업을 하고 난 뒤 문제가 생겼다. LTE 장비로 보내야 할 신호를 5G 장비로 보내는 오류가 생겼다. 원인을 파악하고 시정한 뒤에는 LTE 속도가 정상화 됐다. 고객 불만 접수(VOC)도 평상시 수준으로 회복됐다. 장비 제조사의 문제이지만 고객 불편을 끼친 점에 대해서는 통신사도 책임을 피할 수 없다.”
3G에서 4G로 넘어갈때도 3G 속도 저하 논란이 있었다. 그때는 NSA 방식이 아니었는데 왜 같은 문제가 생겼나.
“LTE 폰도 통화 송수신은 3G망을 이용하고 데이터 송수신은 LTE 망을 이용한다. LTE 초기에 전화 통화 도중에 카카오톡이나 문자 메시지, 사진 같은 데이터가 송수신되면 통화가 끊기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초기 몇달 간의 일일 뿐 통신장비와 스마트 기기를 업그레이드하면서 모두 해결됐다. 2010년과 2011년 당시 미래창조과학부가 발표한 품질 평가를 보면 LTE가 등장한 이후 3G 속도가 오히려 빨라졌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LTE 상용화 전 3G 속도는 평균 1.74Mb㎰였다가 LTE가 상용화된 첫 해에 1.89Mb㎰가 됐다. 특별히 3G 망에 어떤 기술적 조치를 하지 않았지만 고객들이 LTE로 옮아가면서 네트워크에 여유가 생긴 때문이다.”
5G 속도를 내는 게 중요해서, 5G를 통한 데이터 처리 요청을 우선 처리하고, LTE 데이터 처리는 미루다 보니 생긴 문제라는 주장도 있다.
“주파수 대역이 달라서 어떤 신호를 선택해서 먼저 처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LTE 주파수로 데이터 처리 요청이 오면 LTE 장비가 처리하고, 5G는 5G 장비로 처리한다. 주파수는 초당 진동의 숫자다. LTE와 5G 신호는 각각 초당 진동의 횟수가 크게 다르다. 이 진동수를 통신장비가 감지해 각각 처리하기 때문에 특정 주파수를 우선 처리한다는 일은 있을 수 없다.”


“통신사가 개개인 데이터 전송속도 제한하는 건 불가능”

통신사가 개개인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한 할 수 있나 없나.
“할 수 없고 하지 않는다.”
데이터를 과소비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이미 속도 제어를 하고 있지 않나.  
“개개인이 데이터를 쓰는 양은 알 수 있다. 그래야 과금을 할 수 있다. 그 중 특정 소비자가 하루에 정해진 용량을 넘게 소비하면 그후로 속도를 늦추는 것 정도는 가능하다.”
개개인 차원이 아니라, LTE 통신망 전체의 속도를 느리게 하는 것이 가능한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 예를 들면 주파수 대역폭을 좁혀서 처리하면 가능할 수 있겠다. 예를 들면 8차선 고속도로를 깔아놨지만 양쪽 끝에 한 차로씩, 두개 차로를 폐쇄하면 전체 차량 속도가 25%가 줄어드는 것과 같은 원리다. 그런데 원활한 교통 흐름이 핵심 경쟁력인 회사에서 왜 억지로 이런 일을 하겠나. 더구나 주파수 처리 대역폭에 손 대는 일은 자칫 기업 윤리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정부의 담당 부처에서도 이통사를 들여다 보고 있어서 불가능한 일이다.”
소비자들은 5G 가입을 유도하기 위해 LTE 속도를 떨어뜨린다고 의심한다.
“속도 저하 논란이 유독 많았던 KT를 예로 들면 LTE 가입자가 1500만명, 5G 가입자가 5만명이다. 주 수입원도 LTE 고객들이다. 5만명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1500만명을 희생시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LTE 속도가 저하되면 5G로 갈아타는게 아니라 타사의 LTE로 옮겨갈 것이다. 실익도 없고 가능하지도 않은 조치를 할 이유가 없다. 이통사 입장에서 주파수는 조 단위의 거액을 들여서 확보한 핵심 자산이다. 이를 덜 활용하기 위한 조치는 할 이유가 없다.”

박태희 기자 adonis55@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