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제주 4·3 사건 완전한 해결은 이념 극복·국민 통합으로 가는 길”

중앙일보

입력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4월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0주년 4·3희생자 추념식에서 추모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4월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0주년 4·3희생자 추념식에서 추모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제주 4·3 사건의 완전한 해결이 이념을 극복하고 국민 통합으로 가는 길”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트위터 등 공식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더딘 발걸음에 마음이 무겁다. 진상을 완전히 규명하고 배·보상 문제와 트라우마 치유센터 설립 등 제주도민들의 아픈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일에 더욱 힘을 기울이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제주 4·3사건은 여전히 봄 햇살 아래 서 있기 부끄럽게 한다”며 “대통령으로서 끝까지 챙기겠다”고 다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이낙연 국무총리가 제주의 마음을 위로하고 정부의 마음을 잘 전해주실 것”이라며 “진혼을 넘어 평화로 나아가는 제주도민의 강인함에 깊은 존경의 마음을 보탠다”고 말했다.

앞서 이날 오전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거행된 제71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는 문 대통령 대신 이 총리가 참석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지난해 제70주년 제주 4·3 추념식에 부인 김정숙 여사와 참석했다. 4·3 추념식에 현직 대통령이 참석하는 것은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두 번째다.

문 대통령은 당시 추념사에서 “4·3의 진실은 어떤 세력도 부정할 수 없는 분명한 역사의 사실로 자리잡았다는 것을 선언한다. 4·3의 완전한 해결을 향해 흔들림 없이 나아가겠다”며 “국가폭력으로 말미암은 그 모든 고통과 노력에 대해 대통령으로서 다시 한 번 깊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제주 4·3 사건

제주 4·3 사건은 1947년 3·1절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54년 9월 21일 한라산 통행금지령이 해제될 때까지 7년 7개월 동안 제주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군경의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양민이 희생된 사건이다.

채혜선 기자 chae.hyes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