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하루하루 채용해 쓰는 일용직 경제는 공유경제 아니다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628호 09면

[SPECIAL REPORT] 공유경제 10년의 빛과 그늘 

에이프릴 린

에이프릴 린

“공유경제는 일용직 경제(Gig Eco-nomy)가 아니다.”

공유경제 전문가 에이프릴 린 #공동체 위해 내 차와 집 내놓는 게 #효율 높이고 환경 지키는 공유 정신 #택시보다 요금 저렴한 블라블라카 #이동 수단 나누며 관광객과 소통

세계적인 공유경제 전문가 에이프릴 린 에이프릴월드와이드 설립자의 말이다. 공유경제란 말을 함부로 써서는 안 된다는 얘기였다. 첫 마디부터 인터뷰 핵심을 콕 짚은 대답이 나왔다. 세계경제포럼(WEF)은 공유경제의 진짜 의미를 가장 잘 아는 인물로 그를 꼽았다. 공유경제 10년을 되돌아보기 위해 그에게 전화를 걸었다.

요즘 공유경제가 패션이 됐다. 여기저기에 다 ‘공유경제’란 말을 붙고 있는 듯하다.
“아쉽다. 공유경제가 본격화한 시기는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직후다. 10년 정도 흘렀다. 그 사이 규모가 빠르게 불어났다. 일반 시민뿐 아니라 정책 담당자들 사이에서 관심도 부쩍 커졌다. 한국도 공유경제에 대한 관심이 많은 나라다. 그런데 공유경제의 진짜 의미와는 다르면서 공유경제라는 브랜딩을 한 곳도 많아졌다.”
공유경제의 진짜 의미는 무엇인가.
“주택을 예로 들면, 지금까지는 개인이 집 한 채를 소유하고 사는 구조다. 하지만 그 집을 하루 24시간, 주 7일 모두 활용하지는 않는다. 유형 또는 인적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는 게 첫 번째 공유경제 조건이다.”
인적 자원의 효율을 말했는데, 일용직 등 기업이 그때그때 인력을 빌려다 쓰는 것도 공유경제인가.
“영어로 ‘긱 이코노미(일용직 경제)’라고 하는데, 그것은 공유경제가 아니다. 긱 이코노미는 인적 자원이 가지고 있는 전문 지식이나 기능을 공유하는 형태이긴 하다. 하지만 공유경제의 중요한 조건을 갖추지 않았다.”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어떤 조건인가.
“공유경제는 공동체 지향적이어야 한다. 하루하루 사람을 채용해 쓰다가 일이 끝나면 모든 관계가 끝나는 일용직 경제는 공유란 브랜드를 붙이지 말아야 한다. 특히 공유는 금전적 수입보다 상위 개념이다.”
상당히 이상적으로 들린다. 그런 공유경제 예가 있을까.
“프랑스 파리에 본부를 둔 블라블라카(BlaBlaCar)다. 프레드릭 마젤라가 세웠다. 유럽 전역에 퍼져있다. 블라블라카는 이동수단을 공유한다. 기존 택시 요금의 10~25%만 받는다. 돈이 목적이 아닌 셈이다. 관광객이 현지인과 이야기하며 여행할 수 있다. 관계가 계속 이어질 수 있다. 회원 수가 7000만 명에 이른다. 기존 자원(자동차)을 최대한 활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다.”
친환경도 공유경제 조건인가.
“효율성 그리고 공동체 지향성과 함께 세 가지 조건이다. 지속가능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자원을 낭비해 환경을 해치면 그런 경제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
올해 WEF에서 공유에서는 자원에 대한 접근이 소유보다 우월하다고 말했다. 그런데 자본주의 경제에서 소유가 어떤 것보다 중시된다. 법적 충돌이 예상된다.
“소유권의 의미가 한국 등 대륙법 체계를 따르는 나라와 영미 쪽처럼 판례를 중시하는 곳과 다를 수 있다. 집을 공유할 때 빌려 쓰는 사람이 집과 가재도구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집 등을 소유하는 권한보다 존중되어야 한다. 이런 공유경제는 현대 경제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다. 이를 위해 각국이 법률 시스템을 바꿔나가야 한다.”
현대 경제가 안고 있는 문제점은 뭘까.
“공유경제가 본격화한 계기가 2008년 위기라고 했다. 글로벌 경제가 대침체(Great Recession)에 빠졌다. 개인의 소득이 줄어드는 와중에 각종 자원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았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공유경제가 떠올랐다.”
경제가 활성화되면 공유경제가 쇠퇴할 수도 있을 듯하다.
“그렇지 않다. 아프리카 같은 지역에서는 아직도 집과 차량 등이 부족하다. 물론 금이나 다이아몬드 등 천연자원은 많기는 하다(웃음). 부족한 집과 차량 등을 공유경제 메커니즘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강남규 기자 dismal@joongang.co.kr
에이프릴 린 공유경제를 바탕으로 공공정책을 마련하고 도시계획을 수립하는 등에 자문해주고 있다. 그는 이홍구 전 총리 등이 졸업한 에모리대를 나와 하버드 로스쿨에서 법을 공부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