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병리라더니…' 김상조 "재벌 좋아해" 말바꿔 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12일(현지 시간)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제23회 국제경쟁정책 워크숍'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 제공]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12일(현지 시간)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제23회 국제경쟁정책 워크숍'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 제공]

김상조 공장거래위원장이 국제회의 기조강연에서 언급한 재벌 관련 발언이 논란에 휩싸였다. 사전에 공개된 원고 초안에서 '재벌은 사회적 병리현상'이라고 표현했지만 실제 강연에서는 '나는 재벌을 좋아한다'고 말을 바꿨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은 12일(현지시간)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제23회 국제경쟁정책 워크숍' 기조강연을 했다. 이 자리에서 김 위원장은 "나는 재벌을 좋아한다"며 "재벌은 한국의 소중한 경제 자산으로 과거에도 그랬고 현재도 그러하며 미래에도 그러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초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가 미리 배포한 기조강연 자료에는 재벌에 대한 부정적 내용이 담겨 있다. "재벌이 한국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부정적 측면이 부각되고 있다"며 "재벌들의 성장이 한국 경제 전체의 발전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으며 재벌에 경제력이 집중되는 것은 고용의 대부분을 창출하는 중소기업 성장마저도 방해하고 있다"고 언급한 것이다.

이에 공정위는 "대변인실이 김 위원장의 유럽 출장 보도참고자료를 배포하면서 실수로 초안까지 언론에 공개해 사고가 났다"며 "실무진이 사전에 작성한 말 그대로 '초안'일 뿐 외부에 공개할 자료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달변가로 알려진 김 위원장은 통상 실무진이 사전에 작성한 외부 발표 초안을 끝까지 확정하지 않는다는 게 공정위의 설명이다.

공정위는 또 청중의 성격, 현장 분위기, 최신 정보를 종합적으로 반영해 강연을 하기 때문에 초안이 그대로 발표되는 일은 매우 드물다고 밝혔다.

실제 김 위원장은 이날 세르비아 경쟁당국을 향해 "경쟁당국은 기업 등 비판자들로 둘러싸여 있어 외롭다. 당신들도 외로울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모두 친구"라는 초안에 없는 즉흥적 발언으로 박수갈채를 받았다.

초안에는 한국의 경제발전과정에 따른 경쟁법 도입 역사와 집행 경험, 한국의 특수한 경제여건에 따른 재벌정책 주제만 있었지만 즉석에서 '한국의 경제 발전 핵심 전략' 내용을 추가했다. 재벌 관련 내용만 달라진 게 아니라는 것이다.

김 위원장은 초안에 있던 '재벌은 사회적 병리현상'이란 표현을 구사하진 않았지만 경제 권력이 경제뿐 아니라 정치, 종교, 언론, 이데올로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이 논란을 의식해 재벌 관련 발언 수위를 낮췄다고 비판했다. 외국 공무원 앞에서 한국 대기업을 비판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을 수용했다는 해석도 있다. 공정위 실무진의 실수에 따른 '진짜 해프닝'이라는 의견 역시 나왔다.

김지혜 기자 kim.jihye6@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