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김복동 할머니 애도 “역사 바로세우기 잊지 않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9일 서울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특1호실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가 마련되어 있다. [연합뉴스]

29일 서울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특1호실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가 마련되어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일본의 사죄를 요구하며 평생을 보낸 위안부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의 별세에 애도의 뜻을 표했다.

이날 문 대통령은 페이스북을 통해 “김복동 할머니께서 어제 영면하셨다. 흰 저고리를 입고 뭉게구름 가득한 열네 살 고향 언덕으로 돌아가셨다”라고 추모했다.

문 대통령은 “1993년 할머니의 유엔 인권위 위안부 피해 공개 증언으로 감춰진 역사가 우리 곁으로 왔다”라며 “진실을 마주하기 위한 용기를 갖게 되었다”고 전했다.

이어 “할머니께서는 피해자로 머물지 않았고 일제 만행에 대한 사죄와 법적 배상을 요구하며 역사바로잡기에 앞장섰다”라며 “조선학교에 장학금을 기부하고 다른 나라 성폭력 피해 여성들과 연대했다. 인간의 존엄성을 되찾는 일에 여생을 다하셨다”고 덧붙였다.

더불어 문 대통령은 “지난해 병실에서 뵈었을 때, 여전히 의지가 꺾이지 않았던 모습이 생생하다”라며 “역사 바로 세우기를 잊지 않겠다. 살아계신 위안부 피해자 스물 세분을 위해 도리를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복동 할머니는 1940년 14세의 나이로 끌려가 중국·홍콩·싱가포르·말레이시아 등지에서 고초를 겪다가 1947년 귀국했다.

1992년 위안부 피해를 공개하며 본격적인 여성 인권 운동의 길을 걸은 고인은 지난 28일 별세했다.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생존자는 23명으로 줄었다.

이지영 기자 lee.jiyo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