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래 환경장관 “미세먼지 카드 전부 내놨지만…국민체감 부족”

중앙일보

입력

조명래 환경부 장관. [연합뉴스]

조명래 환경부 장관. [연합뉴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최악의 미세먼지 문제에 대해 “정책적으로 내놓을 카드는 다 내놨지만, 국민 체감이 부족한 것 같다”며 “뭐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대책을 내놓겠다”고 22일 밝혔다.

조 장관은 이날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간부들에게) 엉뚱한 것이라도 좋다. 대신 효과가 담보되고, 과학이 담보되는 방법을 찾아보자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노형욱 국무조정실장은 이날 오전에 열린 국무회의에서 지난해 부처별 업무평가 결과를 보고했다. 환경부는 최저 등급인 ‘미흡’ 판정을 받았다. 미세먼지 문제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게 가장 큰 이유로 꼽혔다.

조 장관은 국무회의에 앞서 문재인 대통령과 만나 미세먼지 문제를 논의하기도 했다.

조 장관은 “(대통령께) 국민이 만족하지 못하는 정책을 내놔서 미안하다는 말을 전했다”며 “평가에서 미흡을 받아 우울한 날”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언론에서는 미흡 받으면 개각의 대상이라고 말을 한다”며 “취임 두 달밖에 안됐는데 안절부절못하는 하루를 보냈다”고 했다.

“미세먼지, 새로운 아이디어 중요”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앞서 조명래 환경부 장관과 차담을 나누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앞서 조명래 환경부 장관과 차담을 나누고 있다. [뉴시스]

조 장관은 이날 국무회의를 마치고 담당 실·국장들과 미세먼지 대책을 논의했다.

그는 “회의에서 간부들에게 최악의 미세먼지와 평가 ‘미흡’ 상태를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며 “뭐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대책을 내놓자고 주문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특히 “제도가 필요하고 법이 뒷받침돼야 한다면 말한다면 특별 회계나 지원법 제정을 위해 나설 것”이라며 “많은 돈이 들어도 그 부분에 대해서는 (국회에) 요구를 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중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건축물 벽면에 미세먼지 흡착 효과 있는 도료를 바를 때 효과 있다는 이야기 들었다”며 “신축 건물이든 기존 건축물이든 외벽에 바르면 효과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또 “공기질을 정화하기 위해서는 공조시설 기능을 더 강화해서 건물이 일종의 집진기 역할을 할 수 있는 부분도 고민하고 있다”라고도 했다.

그는 다만 “(미세먼지는) 하루아침에 해결은 어렵다고 본다”며 “최근 미세먼지는 기상조건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기상통제는 또 다른 차원의 문제”라고 설명했다.

“미세먼지 저감에 직을 걸어라”

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18일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인 박원순 서울시장에게 전화를 걸어 미세먼지 특별법의 차질 없는 준비와 함께, 주말에도 고농도 미세먼지에 적극 대응해 줄 것을 당부했다. [뉴스1]

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18일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인 박원순 서울시장에게 전화를 걸어 미세먼지 특별법의 차질 없는 준비와 함께, 주말에도 고농도 미세먼지에 적극 대응해 줄 것을 당부했다. [뉴스1]

조 장관은 올해 미세먼지 등 실질적인 환경 개선을 위해 ‘성과’에 역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주간, 월간 점검을 통해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물, 미세먼지 관련 측정 평가를 하겠다”며 “대기 국장에게는 미세먼지 저감에 최대한 역점을 두고 직을 걸라고 했다”고 말했다.

고농도 미세먼지 대응과 관련해서는 “비상저감조치가 지금은 임의적이며 그 영역도 공공 부분 수도권에 한정된 부분이 있다”며 “이번에는 전국으로 확대되기 때문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 장관은 다만 “지방은 관리 대응 측면에서 부족한 부분이 많다”며 “지자체장과 영상회의를 통해서 저감조치 동참을 호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조 장관은 낙동강 등 4대강 보 개방 문제와 관련해 “아직 초기 단계기 때문에 답을 주기는 힘들다”며 “낙동강 문제 해결을 위한 그림이 연말에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 취수원 이전 논란에 대해서도 “지역 갈등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가 남아 있기 때문에 지역 주민들이 참여하는 거버넌스를 통한 합의를 추진하겠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내놨다.

천권필 기자 feeli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