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이름 딴 양서류 등장…작명자 “앞 못보는 게 닮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최근 발견된 양서류 ‘데르모피스 도날드트룸피’ 머리 부분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의 두발과 눈썹 등을 합성한 사진(왼쪽) [인바이로빌드닷컴 캡처]

최근 발견된 양서류 ‘데르모피스 도날드트룸피’ 머리 부분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의 두발과 눈썹 등을 합성한 사진(왼쪽) [인바이로빌드닷컴 캡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이름을 딴 양서류가 등장했다. 18일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중미 파나마에서 새로 발견된 생물의 학명이 최근 '데르모피스 도널드트럼프(Dermophis donaltrumpi)'로 결정됐다. 이 학명은 학술지를 통해 공식 명칭이 된다.

'데르모피스도널드트럼피'는 다리나 발이 없는 양서류 무족목에 속하는 생물이다. 크기는 길이 10cm로 앞을 보지 못하고 머리를 땅에 파묻고 사는 것이 특징이다.

이 생물의 학명은 친환경 건설자재 생산 기업인 '인바이로 빌드'의 에이던 벨 사장이 붙였다. 그는 경매를 통해 2만5000달러(약 2818만 원)를 주고 학명결정권을 얻은 바 있다.

당시 경매는 열대우림 보호단체인 레인포리스트 트러스트 지원 자금 마련을 위해 이뤄졌다. 레인포리스트 트러스트는 이 생물이 지구온난화의 충격에 특히 취약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기후 정책 탓으로 멸종할 위기에 놓였다고 주장해왔다.

에이던 사장은 이 생물이 지구 온난화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태도와 닮아 이런 학명을 지었다고 밝혔다.

데르모피스 도날드트룸피 양서류의 실제 모습 [envirobuild.com]

데르모피스 도날드트룸피 양서류의 실제 모습 [envirobuild.com]

앞서 미국 정부는 지난달 기후변화 관련 보고서를 통해 산불과 홍수가 미국인의 삶을 해치고 있고 더욱 악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난 믿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을 빗댄 학명은 이미 등장한 바 있다. 신종 나방의 머리에 있는 노란색 비늘이 트럼프 대통령의 금발 머리를 떠올린다고 해 '네오팔파도널드트럼피'라 불렸다. 또 트럼프 대통령의 독특한 헤어스타일은 독을 품은 털 애벌레나 황금 깃털 꿩에 비유되기도 했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