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다고 고혈압 방치? 20~30대도 심장마비ㆍ뇌졸중 위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0~30대 젊은층의 혈압이 130/80 mmHg 넘으면 심장마비, 뇌졸중 등 심장 질환과 뇌혈관질환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7일 나왔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팀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2~2005년 건강검진을 2회 받은 20~30대 남녀 249만명을 10년 추적 관찰했다. 박 교수는 지난해 미국심장학회·미국심장협회가 제시한 새 고혈압 기준을 적용해 관찰했다. 미국 학회는 고혈압 기준을 140/90mmHg에서 130/80mmHg로 강화했다.

미국 심장학회,심장협회 새 고혈압 기준(2017년)

미국 심장학회,심장협회 새 고혈압 기준(2017년)

 연구 결과에 따르면 1단계 고혈압(수축기 130~139, 이완기 80~89)인 경우 정상 혈압에 비해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도가 남자 25%, 여자 27% 증가했다. 다만 항고혈압제를 복용할 경우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낮았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손정식 교수는 “20~30대에서도 새로운 고혈압 가이드라인에서 정의한 1단계 고혈압이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도를 높였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최슬기 연구원은 “혈압이 130/80mmHg 이상인 젊은 성인에서 항고혈압제를 복용할 경우 심뇌혈관질환 예방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책임자인 박상민 교수는 “젊은 층이라도 새 고혈압 기준만 넘어도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20~30대부터 적극적인 혈압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의료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 ‘미국의학협회 저널(JAMA;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에 실렸다.
 신성식 기자sssh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