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보다 석유가 더 위협적 무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신문은 "1967년 중동전쟁 때와 지금은 상황이 전혀 다르다"고 지적했다. 67년 5개 아랍국가들이 석유를 무기로 내세워 미국과 유럽 국가들에 대한 석유 수출을 중단했을 때에는 곧바로 미국이 하루 100만 배럴 증산에 나서는 등 각국이 석유 생산을 늘리면서 어렵사리 위기를 넘길 수 있었지만 지금은 그런 여력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물론 미국과 영국.프랑스의 당국자들은 석유가 이란 전체 수출의 85%, 정부 재정수입의 65%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이란 정부가 웬만한 경제적 압력에는 석유 수출을 중단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이란이 군사공격을 받게 될 경우에는 얘기가 달라진다. 신문은 "대다수 전문가들은 이란이 군사공격을 당할 경우 즉각 페르시아만 일대를 봉쇄해 세계 석유수급에 결정적 차질을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이란이 하루 250만 배럴에 달하는 석유 수출을 중단할 경우 문제는 더 복잡해진다. 현재 당장 석유 추가생산 여력이 있는 나라는 사실상 사우디아라비아 단 한 국가뿐이며, 그나마 하루 120만~150만 배럴의 중유만 추가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신문은 "이런 상황을 종합해 볼 때 이란에 있어 석유는 그 어떤 핵무기보다 유용할 것"이라고 결론내렸다.

박신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