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기초과학연구지원센터 정상운영 "산너머 산"|89년도 운영세부계획에 비친 문제점과 대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우리나라 기초과학의 견인차역할을 할 「기초과학연구지원센터」의 세부운영계획이 마련됐다. 지원센터는 14일 그동안 논란이 돼왔던 기능과 운영계획을 마무리짓고 89년부터 연구기자재 확보에 나서기로 했다.
지원센터의 기능과 문제점을 알아본다.

<기능>
지원센터의 첫번째 역할은 대학이나 연구소가 보유하기 어려운 비싼 연구기자재와 관련 정보를 전국의 기초과학연구자가 공동 이용토록 하는 것.
국내의 기초과학이 뒤떨어진 것은 기자재의 부실도 큰 요인이다.
예를 들어 보통 물리학과의 경우 15명의 교수에 46점(20억7천4백만원 상당)의 실험기기를 구비하고 있다면 1차적 기본장비를 갖춘 셈이다.
그러나 국내 명문사립대학의 기초과학관계 전체 보유실험기기가 10억원 어치에도 미치지 못하고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고가기기가 구입돼도 인력과 예산의 배정이 없어 활용이 안 되는 수가 적지않다.
기기확보를 위해 센터는 우선 특별외화대출로 배정된 5백만달러를 활용해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공동으로 구입을 요청한 기기를 내년 초에 발주, 내년 말부터 들여올 예정.
센터는 도입기기의 구체적 목록을 작성하기 위해 서울대·아주대 등이 조사한 이공계대학 연구시설을 참고할 방침이다.
각 대학 기초과학연구소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약7백억원 어치의 장비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 났다.
센터는 92년까지 2백32억원을 확보하고 나머지는 2000년까지 구매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학술정보의 수집과 제공도 빼놓을 수 없는 기능이다.
센터에 자료정보실을 두어 국내외의 학술정보를 집약해 컴퓨터망을 통해 전국의 이용자에게 서비스한다.
한편 도핑컨트롤센터를 인수, 생화학대사연구 등을 연구해 체육계의 지원기능도 유지키로 했다.

<문제점>
이 같은 계획에도 불구하고 과기처는 센터의 위치를 아직 확정짓지 못했고 연구인력확보도 남은 과제다.
지난 9월16일 21명의 중진 기초과학자들은 이 분야의 인력이 집중된 서울지역에서 센터 운영을 시작해 전국으로 확산, 분소를 늘려나가는 것이 좋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반면 경제기획원과 중부권 대학은 대전(대덕단지)을 바라고 있다.
센터(소장 김현남)측은 서울의 국립과학관(서울와룡동)시설을 일시적으로 사용할 것도 검토중이다. 이에 대해 경제기획원은 예산상 문제로 부지확보가 용이하고 연구기관이 모여있는 대덕단지를 강력히 요구, 결정이 늦어지면 도입장비를 쌓아두어야 할 형편이다.
센터가 지원과 연구 어느 쪽에 비중을 두어야 하느냐는 것도 주요 쟁점.
일단 운영계획에서는 지원기능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연구능력을 갖춘다는 복안이 제시됐다. 따라서 92년에는 기기지원과 연구를 50대50의 비율로 한다는 것이다(90∼91년는 지원70%, 연구30%). 연구기능에는 대학과의 공동연구, 기기개량 등 고유연구, 시료분석 등 위탁사업이 포함된다.
이를 위해 연구원을 전임과 비전임으로 나누어 대학교수나 연단교수(강의 없이 휴가중인 교수)를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연구조직은 물리·화학·생물·지구과학과 관련된 기기부로 나누어 운영한다는 것.
아무튼 안정적 재원확보와 대학과의 원활한 협력이 필수로, 이 두 가지가 정립 안되면 이름뿐인 연구소로 전락할 위험이 크다.
최근 고가정밀기기의 수명이 3∼8년이며, 국내대학의 폐쇄성·질적수준차 등이 극심한 점 등도 센터의 장래에 장애가 되는 요인이다. <장재열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