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 많이 양보" 노 대통령 '몽골 발언'은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지방선거용"(한나라당 이계진 대변인)에서부터 "2차 정상회담에 대한 의지의 표명"(열린우리당 최성 의원)까지…. 발언 배경과 의미를 놓고 정치권의 해석은 제각각이다. 학계도 마찬가지다. "대북 독자노선 천명""6자회담 재개를 위한 유인책" 등 의견이 분분하다.

하지만 정작 해당 부처인 통일부나 외교부는 '이게 진짜 대통령의 뜻'이라고 자신 있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당국자들은 그 이유를 "노 대통령의 발언이 미리 관계부처 간 조율을 거친 게 아니라 즉석연설 형태로 나왔기 때문"이라고 토로하고 있다. 한 당국자는 "정제되지 않은 발언"이라고도 했다.

대북 문제를 맡고 있는 이종석 통일부 장관만 해도 그렇다. 이 장관은 9일 개성 방문을 마친 뒤 기자들에게 "김대중(DJ) 전 대통령의 (재)방북이 이뤄지기 전에 자꾸 이슈화되는 걸 동교동 측도 바라지 않고 있으며, 정부나 북한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하지만 몇 시간 뒤 노 대통령은 DJ의 방북을 이슈화했다. 이 장관은 결과적으로 거짓말을 한 셈이 됐다.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차장 시절부터 대북 문제에 대해서만큼은 대통령과 충분히 교감해온 이 장관인데도 그랬다. 12일 방송 인터뷰에서도 이 장관은 "제가 정확하게 모르겠다" "그렇게 이해하고 그렇게 듣고 있습니다"라는 자신 없는 발언만 되풀이했다.

미리 귀띔을 받지 못해 황당해하는 건 방북을 앞둔 DJ 측도 마찬가지다. 11일 DJ를 만나고 나온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은 "북한 초청을 받아가는 분에게 애매하게 부담을 지우는 건 도리가 아니지 않으냐"고 말했다. 미국 등 관계국에 대통령의 발언을 설명해야 할 외교부 관계자들은 "사전에 들은 정보가 없어 답답하다"고만 말하고 있다. 노 대통령의 몽골 발언은 지금까지는 적어도 로드맵이 뒷받침되지 않은 '나 홀로 구상'인 셈이다.

◆ 정책으로 현실화될까=연정론이 그랬듯 대통령의 몽골 발언은 이미 굴러가기 시작했다. 관건은 어떻게 현실화되느냐다. 미국의 대북 압박책과 북한의 맞대응이 맞서면서 6자회담은 출구 없는 동굴 속에 갇혀 있다. 노 대통령 발언은 남북관계 진전을 통해 우리가 주체적으로 돌파구를 찾아보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이종석 장관은 "상황 타결을 위해 미국도 여러 가지를 해봤지만 일정한 한계가 보이니까 이제는 우리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상대인 북한의 태도 변화를 유도할 방안이 뭐냐는 점이다. 그래서 대통령의 몽골 발언이 앞으로 어떻게 구체화될지가 관심이다. 정부 당국자는 "당장은 준비되거나 논의된 게 없다"며 "대통령이 귀국하고 나면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지지 않겠느냐"고 했다. 하지만 노 대통령의 구상은 위험도 안고 있다. 우리가 주체적으로 해법을 찾겠다고 나섰는데도 불구하고 성과가 없을 경우 미국은 대북 압박의 강도를 높일 가능성이 크다. 그렇게 되면 어려운 한.미 관계는 더 가혹한 시련을 겪을 수 있다.

박승희.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