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 20% 소득 9% 줄어 역대 최대 폭 … 3040 취업자 수도 40만명 넘게 감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올해 2분기 저소득층의 실질소득이 역대 최대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26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분석 결과 전국 2인 이상 가구(농어가 제외) 중 1분위(하위 20%)의 2분기 실질소득은 월평균 127만원에 그쳤다. 전년 동기 대비 12만6000원(9.0%) 줄어든 수치다.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3년 이후 감소 폭이 가장 컸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1분위의 실질소득은 2003년 이후 대체로 상승해 2015년 2분기 148만7000원으로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최근 1년 새 크게 줄었다. 127만원은 7년 전인 2011년(122만8000원) 수준이다. 2분위(하위 20~40%)의 2분기 월평균 실질소득도 268만5000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10만1000원(3.6%) 줄었다. 나라 경제가 성장하면 가구 소득도 늘어나는 게 일반적이지만 최근 1년 동안 저소득층은 그 혜택을 보지 못한 셈이다.

관련기사

반면 상위 계층은 실질소득이 늘었다. 4분위와 5분위(상위 20%)의 올해 2분기 월평균 실질소득은 522만원, 875만9000원으로 1년 전보다 각각 16만5000원(3.3%), 69만2000원(8.6%) 증가했다.

이런 가운데 경제의 허리 역할을 하는 30∼40대 취업자 수 감소가 심각한 수준이란 분석도 나왔다. 26일 현대경제연구원이 7월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30∼40대 취업자 수는 도소매업과 교육서비스업, 제조업, 운수·창고업, 건설업 등에서 전년 동기 대비 40만 명 이상 감소했다.

30~40대 취업자 감소가 특히 두드러진 건 편의점이나 옷가게 등 자영업자가 포함된 도소매업이었다. 도소매업에서만 14만 명가량 감소했다. 학령인구 감소의 영향을 받는 교육서비스업과 구조조정 여파가 남은 제조업 취업자도 각각 7만5041명, 6만5158명 줄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구조조정 대상이 된 30∼40대가 갈 곳을 찾고 있지만 자영업의 과당경쟁과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 등으로 사람을 쓰지 않아 이동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세종=장원석 기자 jang.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