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英원전 인수 우선협상자 지위 상실···수출 빨간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전, 英 원전 인수 우선협상자 지위 상실 

한국전력공사가 총 사업비 150억 파운드(약 22조원) 규모의 영국 무어사이드 원전 프로젝트와 관련, 7개월 만에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잃었다. 영국으로의 원전 수출을 추진해온 정부와 한전에 빨간불이 켜진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1일 “도시바가 새로운 사업모델 검토로 협상이 길어지고 뉴젠의 과도한 운영비 지출이 부담되자 한전 외 다른 사업자와도 협상 기회를 갖기 위해 지난 25일 한전에 우선협상대상자 지위 해지를 통보했다”고 밝혔다.

도시바는 무어사이드 원전 개발사업권을 가진 뉴젠 지분을 100%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중국 등을 제치고 뉴젠의 지분 인수를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한전은 당초 올해 상반기까지 인수 계약을 체결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양측이 불협화음을 낸 것은 사업 모델을 두고 견해차가 컸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한국의 첫 원전 수출 사례인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은 현지 정부가 자금을 마련하고 한국 기업이 건설과 운영을 맡는 방식이다. 그러나 무어사이드 원전은 한전이 자체적으로 자금을 조달해 원전을 지은 뒤 직접 원전을 운영해 수익을 창출해 투자비를 회수해야 한다.

이에 산업부와 한전은 원전 사업의 수익성 및 위험 경감방안에 대해 영국 정부와 계속 협의를 진행해왔지만, 진전이 더뎠다. 이와 관련 영국의 가디언은 “계약 지연으로 미래가 불투명한 뉴젠의 직원 100명이 최근 해고됐다”며 “한국의 새 정부 출범과 신임 한전 사장 임명 등으로 불확실성이 생겼다”고 보도했다.

일각에서는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이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영국 입장에서는 장기적으로 원전을 관리해야 할 사업자를 찾아야 한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정책적으로 원전을 줄이려고 하다 보니 신뢰를 담보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이덕환 서강대 과학커뮤니케이션 교수는 “원전을 포기하면 원전을 관리하며 적기에 부품ㆍ기술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망을 유지할 수 없다”며 “원전을 운영하려면 향후 수십년간 유지보수를 해줘야 하는데 탈원전을 선언한 국가에 이를 맡기기 힘들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전 관계자는 “이번 협상 지연과 탈원전 정책은 관련이 없다”라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이번 우선협상자 지위 박탈로, 탈원전을 추진하면서 원전 수출을 확대하겠다는 정부의 입장은 난처하게 됐다. 무어사이드 원전 수주가 최종적으로 좌초되면 앞으로의 원전 수출에 먹구름을 드리울 수 있기 때문이다.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이번 건은 영국 정부가 우려하던 핵연료 처리방법에 대한 답을 우리가 내놓지 못해 타결시한을 넘겨서 탈락한 것”이라며 “앞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산업부는 “도시바는 한전이 새로운 사업방식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상황임을 충분히 공감하고 한전을 최우선으로 해 협상을 지속한다는 입장”이라며 “영국 정부는 ‘한전에 대해 우선협상대상자 지위에 준하여 무어사이드 원전사업을 위한 한국과의 협의를 지속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해명했다.

세종=손해용ㆍ서유진 기자 sohn.y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