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트렌드] 고온다습한 여름에도 자연의 맛 그대로 저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9면

연일 이어지는 무더위에 실온에서 보관하는 쌀의 신선도에 적신호가 켜졌다. 강렬한 자외선, 습한 날씨에 신선하던 쌀이 습기를 먹고 무르기 쉽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시원한 냉장고에 넣어두면 ‘밥맛’이 떨어질 뿐 아니라 공간도 부족해 주부의 고민은 깊어진다.

쌀을 비롯한 곡식·채소·과일까지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향남요업의 ‘황토 쌀독’(사진)이 주부의 눈길을 끌고 있다. ‘황토 쌀독’은 천연 황토와 머드를 혼합해 1000도의 온도에서 구워 불순물과 중금속이 없는 다목적 보관함이다. 특히 유약을 바르지 않아 식품을 더욱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했다. 유약으로 황토에 있는 미세한 구멍을 막지 않아 신선한 공기가 순환되도록 한 것.

사용법은 간단하다. 우선 황토 쌀독을 햇빛이 직접 닿지 않고 습하지 않은 공간에 놓아둔다. 그다음 황토 쌀독을 구매할 때 받은 ‘습기방지포’를 깔아 저장하는 식품이 황토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한다. 쌀의 유·수분을 흡수해 쌀을 변질시킨다는 황토 쌀독의 단점을 극복한 방법이다. 바닥으로부터 10~20㎝ 떨어뜨려 놓으면 열과 수분의 영향을 받지 않아 더욱 신선한 상태로 식품을 보관할 수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