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올림픽이후의 우리경제에 대해 국민들은 한편으로 걱정하고 한편으로 기대하면서 지켜보고 있다.
대사를 치른 다음의 경제전망에 관해 전문가들 사이에도 낙관론과 비관론이 교차되었으나 최근에는 낙관론 쪽으로 대세가 기울고 있는 듯하다.
대개 비관론은 세계경기가 불황기미를 보이고 있고 우리경제에 내재하고있는 현안들이 산적해 있는 데다 올림픽의 과다 투자 등을 그 주요근거로 들고있으며 낙관론은 어떠한 경기상황과 여건에도 흑자경제의 여력으로 우리의 대응능력이 충분하고 그 대응능력은 모든 경제현안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데 근거를 둔다.
경제의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경제는 세계경기가 의외로 급강하하게되면 영향을 받겠지만 그렇지 않는 경우에 경기가 다소 위축된다고 해도 지난 수년동안 지속된 호황에서 조정국면에 접어드는 정도에 그칠 것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우리경제를 둘러싼 대내외 시련이나 시급한 경제과제들도 국민적 합의를 바탕으로 노력하면 얼마든지 극복하고 해결이 가능할 것으로 믿어진다.
대통령이 국회에서 행한 국정연설에서『올림픽이후 우리경제에 대해 걱정하는 분들이 많으나 우리경제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자신감을 가져도 좋을 것』이라고 강조한 것도 이런 시각에서일 것이다.
그러나 경제의 지속적 안정성장이 결코 순탄할 수는 없다. 많은 장애요인과 불 확실 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효과적인 정책과 국민의 단합된 노력 없이는 불가능하다.
당장 올림픽 때문에 미루어왔던 현안과제들을 무리 없이 푸는 것이 시급한 과제다.
그 중에도 경제안정기조를 지키는 일관된 정책을 꾸준히 추진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인플레기대심리를 불식시키고 그 동안 취한 물가불안을 떨쳐버리기 위한 대증적 조치들을 재점검, 반 인플레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재정·통화정책에 나타난 정부의안정화 의지는 미흡하다고 보며 물가와 관련, 추곡수매가에도 국민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계속 강화되는 대책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투기현상은 여전하다. 6공화국들이 안정기조가 무너진다면 어떤 경제적 성과도 수포로 돌아간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경제의 민주화·자율화에 따른 이해조정은 지난한 과제임과 동시에 우리 경제의 큰 변수에 해당한다.
근로자와 사용자, 생산자와 소비자, 도시와 농촌,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대기업과 중소기업, 정부와 민간, 영남과 호남간의 이해조정이 순조롭지 못하면 경제적 부담과 소질이 크게된다. 원만한 조정을 위해서는 정부의 합리적 판단이 긴요하다.
일부 계층에 대한 시혜조치의 주장 등 일시적이고 무리한 이해조정강요에 굴복하여 주름살이 국민경제 전체에 미치는 일은 없어야한다.
자칫하다가는 조정과정에서 마찰과 갈등이 현재화되어 투자위축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밖에도 개방압력과 통상마찰의 극복, 대 북방경제교류의 적극 추진은 주체적이고 기민한 대응이 필요하고 경제민주화를 위한 각종 제도와 체제개편은 서두르는 중에도 신중을 기해야 한다.
올림픽을 계기로 우리 경제가 재도약을 할 수 있느냐, 선진 권 문턱에서 좌절하느냐는 것은 바로 우리의 손에 달렸다고 하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