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구 회장 영장신청에 재계·협력업계 충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검찰이 정몽구 회장의 사전구속영장을 신청하자 선처를 탄원했던 재계는 충격과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경제계, 협력업체 및 근로자들의 선처 요청에도 불구하고 현대차그룹 회장에 대해 구속영장이 청구된 것을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공식 반응을 보였다. 전경련은 "현대차그룹의 세계경영에 차질이 빚어질까 걱정"이라면서 "어려울수록 노사가 합심해 난국을 잘 헤쳐 나가길 빈다"고 말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현대차가 사회공헌을 약속함과 동시에 앞으로 투명경영을 해나가겠다고 밝히는 등 진솔하게 반성하고 있음에도 검찰이 정몽구 회장을 구속하겠다는 방침을 세운데 대해 안타까운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현대차는 삼성전자와 더불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기업인 만큼 정 회장의 구속은 우리 경제의 대외 이미지에 타격이 될 수 있다"며 "최근 우리 경제가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는 차원에서 좋은 결과가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재계에서는 비슷한 사건으로 검찰 수사를 받은 다른 재벌그룹 총수들이나 법무장관이 지휘권까지 발동해가며 불구속 수사토록 했던 강정구 동국대 교수의 사례 등과 비교할 때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최근 환율하락과 유가상승 등으로 가뜩이나 어려움에 처해 있는 우리 경제를 생각할 때 국내외에서의 왕성한 경영활동을 통해 우리 경제발전에 지대한 기여를 해왔던 그룹 회장을 굳이 구속하여 재판받도록 하는 것이 합당한 것인가 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경총은 "증거인멸과 도주의 우려가 경영차질과 국내경제 역작용보다 더 크다고 판단한 것인지 묻고 싶다"고 덧붙였다.

대기업의 한 임원은 "도주 우려도 없는 글로벌 기업의 총수를 구속한 것은 경제에 대한 배려가 없음은 차치하고라도 불구속수사라는 일반 원칙에도 어긋나는 처사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일부 기업은 정 회장에 대한 검찰의 엄단방침이 확대될 경우 자사에 튈지도 모를 불똥을 우려하기도 했다. 삼성 등 대다수 기업 관계자들은 정 회장 구속에 대한 코멘트를 자제했다.

이현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