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인사이트] 18세기 조선시대 보수 노론은 혁신을 택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유성운의 역사정치

1709년 어느 봄날, 충남 보령의 한산사(寒山寺)에 한 무리의 선비들이 찾아옵니다. 노론 영수 송시열의 적통으로 평가받던 충청 지역 대학자 권상하의 제자들입니다. 지극히 학구적인 모임이었습니다. 성리학의 주요 논점에 대해 논해보자는 자리였죠.

18세기 노론, ‘호락논쟁’으로 분열 #호론, 신분제와 전통적 세계관 고수 #낙론, 유연한 변화로 위기타파 노력 #위기 처한 보수, ‘온고지신’ 삼아야

분위기는 후끈 달아올랐습니다. 권상하 문하의 양 날개인 한원진과 이간이 좀처럼 이견을 좁히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양측의 논쟁은 한산사 모임 이후에도 이어졌고, 결국 스승 권상하가 한원진의 손을 들어주면서 일단락됐습니다.

이황·이이가 벌인 ‘사칠논쟁(四七論爭)’과 함께 조선 지성사의 양대 논쟁으로 꼽히는 ‘호락논쟁(湖洛論爭)’은 이렇게 시작됐습니다. 역사의 큰 물줄기는 작은 갈등에서 촉발되곤 하죠. 작은 산사에서 벌어진 이 논쟁이 100년간 이어질 것이라고는, 더군다나 집권 세력인 노론의 대분열을 가져올 것이라고는 이때만 해도 누구도 예상치 못했습니다.

‘호락논쟁’ 노론을 두 동강 내다

18세기 조선 양반의 풍류를 담은 김홍도 작 ‘포의풍류도’(布衣風流圖).

18세기 조선 양반의 풍류를 담은 김홍도 작 ‘포의풍류도’(布衣風流圖).

동문수학하는 이간과 한원진이 치열하게 다툰 지점 중 하나는 ‘인성과 물성의 차이’, 즉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입니다. 인간이 아닌 동물에게도 인의예지(仁義禮智)와 같은 덕성이 있느냐 없느냐를 따지는 것이었습니다. 양측의 입장은 이렇게 나뉘었습니다.

“만물은 태극에서 시작됐기 때문에 하늘로부터 고르게 덕성을 받았다. 인간은 동물보다 덕성을 온전히 유지한다는 것 정도만 다를 뿐이다.” (이간)

“만물은 태극에서 시작됐지만, 기질(氣質)에 따라 근본이 제각각 다르다. 어떻게 인간과 동물이 같은 덕성을 가질 수 있겠는가.” (한원진)

스승 권상하가 한원진의 손을 들어주면서 수그러들 줄 알았던 이 논쟁에 뜻밖에도 서울·경기 지역 노론 선비들이 달려들면서 사태가 확대됐습니다.

한국 현대 정치사에선 ‘보수=영남’이라는 인식이 있지만, 이때만 해도 노론의 핵심 기반은 서울과 충청이었습니다. 이 무렵 충청 지역을 권상하가 잡고 있었다면 서울은 김창협·창흡 형제가 주도했습니다.

김창협의 영향을 받는 서울 노론계가 이간의 편을 들자 한원진을 지지하는 권상하 측 충청 노론계가 이에 반발했고, 이때부터 노론은 호론(湖論) 계와 낙론(洛論)계로 쪼개집니다. 호(湖)는 기호·호서(충청)지역, 락(洛)은 낙양, 즉 서울 지역을 가리킵니다.

오랑캐 청나라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박지원의 제자 최한기가 그린 ‘지구전후도(地球前後圖)’ 중 아메리카 대륙을 넣은 후도(後圖) 부분. [중앙포토]

박지원의 제자 최한기가 그린 ‘지구전후도(地球前後圖)’ 중 아메리카 대륙을 넣은 후도(後圖) 부분. [중앙포토]

호락논쟁이 한 세기나 지속하며 조선의 지성계를 흔들었던 이유는 그 귀결이 가져올 후폭풍 때문이었습니다. 이 결과에 따라 그동안 금수(禽獸)로 여긴 청나라에 대한 인식도 바뀔 수밖에 없었습니다.

호론계의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에 따르면 이런 논리가 성립합니다. ‘사람과 동물은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엄격하게 구분해야 한다’ → ‘오랑캐는 금수에 가깝다’ → ‘오랑캐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는 인정할 수 없다’.

반면 낙론계의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의 논리는 다릅니다. ‘사람과 동물은 하늘로부터 동등한 성품을 받았다’ → ‘오랑캐와 명·조선은 근본이 다르지 않다’ → ‘청나라도 실력을 갖추면 정통이 될 수 있다.’

이런 사고의 틀을 따라 낙론계의 뿌리라 할 수 있는 김창협은 ‘정통론’에 대해서도 기존과 다른 주장을 폈습니다.

“정통에서 정은 ‘사정(邪正)의 정’이 아니라 ‘편정(偏正)의 정’의 이미이니 구역의 넓고 좁음으로 말할 따름이다…선악·화이를 가릴 것 없이 천하를 하나로 한 자가 곧 정통이다.” (김창협, 『삼연집(三淵集)』중에서)

호론계는 이런 낙론계의 사상을 ‘화이무분(華夷無分)’ 즉 중화와 오랑캐에 대한 구분이 없으며, ‘인수무분(仁獸無分)’ 즉 인간과 동물을 구분하지 못한다고 맹렬하게 비판했습니다.

노론의 울타리를 넓힌 낙론

정조와 주요당파의 협력 관계

정조와 주요당파의 협력 관계

18세기 조선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충격에서 회복하기 시작했지만, 지배층의 내적 고민과 갈등은 더욱 깊어졌습니다.

국제적으로는 청나라 중심의 국제질서가 자리 잡으며 그동안 조선이 추구했던 북벌의 가능성이 사라졌습니다. 또 청나라의 문화 발전은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큰 정신적 충격을 안겼습니다.

국내로 눈을 돌려보면 상업 발전을 통해 중인층이 크게 성장하고 있었습니다. 그동안 조선 사회를 지배해왔던 화이관(夷狄觀)이나 신분제 등 주자·성리학적 틀에 균열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호론과 낙론 측은 정반대로 돌파구를 찾고자 했습니다.

낙론 측은 성리학 틀 안에서 최대한 현실을 인정하며 탄력적으로 대응하자는 입장이었습니다. 이런 낙론계의 사상은 기존의 북벌론을 넘어 청나라와 적극적으로 교역하고 상공업을 발전시키자는 이용후생론으로까지 확대됐습니다. 또한 중인층과 서얼들의 신분상승 욕구에 대해서도 성리학의 틀 안에서 어느 정도는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쪽이었습니다.

훗날 북학파를 이끈 박지원·홍대용 같은 학자들이 이러한 낙론계의 분위기 속에서 성장한 대표적 인사입니다. 때문에 박지원의 작품을 보면 곳곳에 북벌의 허구성이나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 등 낙론계의 분위기가 강하게 투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랑캐 땅에서 태어나 자칭 사대부라 뽐내다니, 이런 어리석을 데가 있느냐?…명(明)을 위해 원수를 갚겠다 하면서, 그까짓 머리털 하나를 아끼고… 활을 당기고 돌을 던져야 할 판국에 넓은 소매의 옷을 바꾸지 않고 딴에 예법이라고 한단 말이냐” (『허생전』 중에서)

“천하의 원리는 하나뿐이다. 범의 본성(本性)이 악한 것이라면 인간의 본성도 악할 것이오, 인간의 본성이 선한 것이라면 범의 본성도 선할 것이다.”(『호질』 중에서)

노론은 ‘수구꼴통’ 정조 적대세력?

박지원이 청나라를 다녀와 쓴 기행문 『열하일기』 . [중앙포토]

박지원이 청나라를 다녀와 쓴 기행문 『열하일기』 . [중앙포토]

박지원이 청나라를 다녀와 쓴 기행문 『열하일기』. [중앙포토]

박지원이 청나라를 다녀와 쓴 기행문 『열하일기』. [중앙포토]

대개 노론은 ‘수구-꼰대-기득권층’으로 묘사되곤 합니다. 특히 정조 시대를 다룬 사극이나 영화를 보면 이런 구도가 더욱 두드러집니다. 노론은 정조의 개혁을 무조건 반대한 세력으로 그려집니다. 하지만 이것은 지나치게 도식화된 측면이 있습니다.

호락논쟁을 기점으로 갈라선 노론의 호론계와 낙론계는 정치적으로도 다른 길을 걸었습니다. 낙론계가 대거 참여한 노론 시파(時派)는 정조에 협력했습니다. 이는 정조가 죽기 전 따로 불러 후사를 부탁한 인물이 노론 시파의 김조순이라는 점에서도 드러납니다.

정조와의 협력 여부를 떠나 노론의 낙론계는 사상적으로도 ‘수구-꼰대’로 치부되기엔 ‘억울한’ 측면이 있습니다.

이런 호론계의 분위기는 정조 시대에 노론 벽파(壁派)로 연결됐습니다.  호론 측은 정통과 이단, 중화와 이적, 군자와 소인의 구분을 엄격히 하는 방식으로 혼란한 사회 분위기를 수습하려 했습니다.

이들은 근본적으로 정조와 같은 길을 걸어갈 수 없었습니다. 정통과 사이비의 구분은 호론계의 존재론적 이유이자 정치적 ‘어젠다’였습니다. 따라서 모든 당파를 초월하고자 했던 정조의 탕평론과 결합하기엔 궁합이 맞지 않았습니다. 호론계의 벽파로서는 근본이 다른 남인도 인정하기 어려웠지만 ‘배신자’ 노론 시파와 손을 잡는다는 것도 일종의 ‘자기 부정’으로 느껴졌을 것입니다. 이처럼 완고한 태도를 고수했던 이들은 18세기 이후 정치사회의 변동을 따라잡지 못한 채 위축되기 시작합니다.

벽파는 정조가 사망한 뒤 잠시 정권을 장악했지만 1806년 ‘병인경화(丙寅更化)’를 계기로 궤멸하면서 중앙 정치무대에서 사라집니다.

호락논쟁의 유산, 보수의 진화

박지향 서울대 서양사학과 교수는 영국 보수당이 300년 가까이 존속한 이유 중 하나로 ‘변화와 혁신’을 꼽습니다. “영국 보수당의 개혁보수주의는 역사와 전통이 귀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지만, 변화에 대해 거부하지 않고 어떤 때는 선도적으로 변화에 나섰다”는 것입니다.

특히 벤저민 디즈레일리가 이끌었던 19세기 중반 도시 노동자 다수를 유권자로 끌어들인 선거법 개혁이 대표적입니다. 공중보건법·식품의약법·직공거주법·굴뚝소년법·공장법을 제정하는 등 광범위한 사회개혁을 주도한 것도 그렇습니다.

18세기 조선에서 100년간 이어진 호락논쟁도 실상 보수 집권층이던 노론계의 혁신 과정이었습니다. 같은 동문의 사형·사제간에 시작된 논쟁은 순식간에 조선 지성계를 휩쓸었습니다. 전통적 화이관과 신분제가 현실과 충돌하는 지점에서 이들은 고민을 거듭했고, 향후 보수 정치의 진로를 놓고 두 패로 나뉘어 치열하게 경쟁했습니다.

양 측 입장이 옳으냐 그르냐를 떠나 이런 경쟁과 혁신을 선택했기 때문에 노론은 이후에도 집권세력으로, 또 지성계의 최대 계파로 생명력을 계속 연장할 수 있었다는 것이 학계의 평가입니다. 그런 점에서 1709년 시작된 호락논쟁은 혼란에 빠진 조선의 보수가 다시 몸을 추스르고 재정비를 하게 된 계기였습니다.

6·13 지방선거를 통해 지리멸렬해진 보수 세력에게 이런 역사는 하나의 시사점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현재 한국의 보수는 ‘과거와 다른 환경’을 직시해야 했던 18세기 조선의 보수와 비슷한 상황입니다.

보수 정치세력은 이번 지방선거를 통해 반공·지역감정 등의 어젠다가 더는 먹히지 않는다는 것을 직시하게 됐습니다. 새가 좌우의 날개로 날 듯이 건전한 보수 세력이 자리 잡아야 한국 정치도 발전이 가능합니다. 보수의 자기반성과 혁신을 기대하는 보수·중도 유권자들도 여전히 많습니다. 마침 한국 정치의 범보수세력은 가치관과 노선을 두고 두 가지 세력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18세기 호락논쟁 못지않은 과감한 혁신의 과정을 기대해봅니다.

호락논쟁(湖洛論爭)

18세기 조선 지성계를 양분한 논쟁으로 100여년 간 이어졌다.

충청 지역 노론 영수인 권상하의 제자들이 인간과 동물의 본성이 같은지 다른지 등을 놓고 벌인 논쟁이 서울·경기 지역까지 확산됐다. 이에 대한 관점 차이 때문에 노론은 충청의 호론(湖論)계와 서울·경기의 낙론(洛論)계로 나뉘었다. 낙론계는 훗날 노론 시파로 이어져 정조에 협력한 반면, 호론계는 노론 벽파를 구성해 정조와 대립했다.

유성운 기자 pirat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