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을 깨끗이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

중앙일보

입력

20일 '어린이 식품위생교실'에 참가한 어린이가 자신의 손에 미생물이 얼마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붉은 젤리 같은 미생물 ①배양지에 손을 찍고 있다.

"여러분은 주로 언제 손을 씻죠?"

"세수할 때요." "화장실 갈 때요."

"손을 많이 씻을수록 좋아요. 웬만한 질병은 손만 잘 씻어도 안 걸리고 피할 수 있거든요. 나갔다 들어왔을 때나 컴퓨터를 만진 뒤, 식사 전에도 꼭 손을 씻어야 해요."

20일 오후 4시 서울 불광동의 식품 의약품 안전청 HACCP(해썹, 식품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 기술지원 센터 교육실. 강사인 HACCP 센터 최은희 박사의 말에 20여 명의 아이들은 귀를 기울였다.

"이제 손 씻는 법을 배워 볼까요. 흐르는 물에 손바닥과 손바닥을 비비며 닦은 다음 한쪽 손바닥으로 다른 쪽 손등을 문지르고…." 아이들은 만화 동영상을 보며 열심히 따라한다. 최 박사는 이어 손을 통해 옮겨질 수 있는 ②식중독균이 어떤 것들인지, 또 한 마리의 세균이 2~3시간 만에 어떻게 2만여 마리로 늘어나는지 등을 각종 사례를 들어 알기 쉽게 설명했다.

<중략>

이어 간단한 실험이 시작됐다. 아이들은 투명 플라스틱 용기에 담긴 손 모양의 붉은 젤리 같은 ③미생물 배양지를 하나씩 받았다. 우선 용기 뚜껑에 자신의 이름과 손을 씻었는지 아닌지를 적었다.

그리고 배양지 위에 한쪽 손을 살짝 올려놓고 "하나, 둘, 셋…"하며 열을 센 뒤 다시 뚜껑을 덮어 강사에게 제출했다. 이것들을 며칠간 배양기에 넣어 두면 각자 손에 남아있던 미생물이 자란 모습을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날은 미리 배양기에 넣어뒀던 다른 아이들의 실험 결과를 보여줬다. 아이들은 대장균 군이 붉은 배양지 위에 곰팡이 꽃처럼 하얗게 피어 있는 것을 보고 입을 쩍 벌렸다. <후략>

<중앙일보 2006년 2월22일자 24면 기사>

* 위 기사를 읽고 질문에 답해 보세요.(1~3)

1. 식중독균을 예방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한다고 했나요?

( )

2. 밑줄 친 낱말을 신문에서 찾아 글자를 오려 붙여 보아요.

그리고 낱말 뜻을 사전에서 찾아 적어 보세요.

3. 다음 낱말 뜻을 살려 보기와 같이 문장을 만들어 보세요.

<보기> 피하다 : 나는 날아오는 공을 피하기 위해 옆으로 뛰었어요.

- 씻다 :

- 표정 :

4. 손을 깨끗이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지 내 생각을 적어 보세요.

1. 식중독에 걸려서 열이 나고 배가 아파요.

2.

3.

5. 제목이 빠져있네요. 신문에서 재미있는 글자를 찾아서 오려 붙여 제목을 지어보세요.

* 다음 이야기를 읽고 답해 보세요.
달라진 용일이

용일이는 몸을 잘 씻지 않고 주변을 깨끗하게 정리하지 않습니다. 어느날, 용일이는 심한 감기로 며칠 동안 학교에 갈 수 없었습니다. 병원에 갔더니, 의사 선생님께서 몸을 잘 씻지 않고 주변을 깨끗이 하지 않으면 병에 걸리기 쉽다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고생을 많이 한 용일이는 이제부터 몸을 잘 씻고 주변을 깨끗이 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초등 도덕 3-1. 1. 깨끗한 생활 , 6쪽 인용>

6. 용일이가 마음먹은 것을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까요? 내가 용일이가 되어 다짐하는 글을 써 보세요.

7. 내가 손을 씻는 모습을 그려 보고, 신문을 이용해서 꾸며 보세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