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더 수상해진 드루킹·김경수 커넥션 … 특검 피할 수 없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드루킹’ 김동원씨 일당이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건네기 위해 3000만원을 마련했다고 한다. 중앙일보 취재에 따르면 김씨 측근이 이러한 내용이 담긴 자료를 경찰에 제출했다. 이 자료에는 지난해 대선 때 김씨 등 ‘경제적 공진화 모임’(경공모) 회원들이 하루 평균 약 100건의 ‘댓글 작업’을 했고, 이를 김 의원에게 보고했다는 내용도 들어 있다고 한다. 경찰은 김 의원 보좌관이 받은 500만원에 대해 “인사 청탁 등과 관련한 편의를 얻을 목적으로 제공한 것”이라는 김씨 측근의 진술이 있다고 어제 밝혔다. 이 돈에 대가성이 있다면 돈 받은 보좌관은 뇌물수수 혐의를 받게 되며, 김 의원이 이에 연루됐다면 그 역시 피의자가 된다. 경찰은 지난 4일 김 의원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이처럼 새로운 사실이 속속 드러나고 의혹이 쌓여 가도 경찰과 검찰의 노골적인 책임 떠넘기기와 수사 태만, 수사 방해 행태에는 변함이 없다. 경찰은 김 의원 통신·계좌 내역에 대한 압수수색영장과 김씨 측근에 대한 체포영장을 신청했지만 검찰이 퇴짜를 놓았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검찰은 경찰이 무성의하게 서류를 만들어 와 반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반박한다. 이런 일이 40여 일 동안 되풀이됐다. 마치 어느 쪽이 집권층에 더 충직한가를 놓고 경쟁하는 듯하다.

3000만원이 정말 전달됐는지, 돈의 용도와 제공 목적은 무엇이었는지 등 규명돼야 할 사안이 한둘이 아니다. 김씨 일당이 댓글 작업과 돈으로 선거에 도움을 주고 인사나 사업에서 특혜를 얻으려 한 게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르렀는데도 민주당이 이런저런 조건을 달며 사실상 특검 도입을 막아섰던 것은 문제다. 우원식 민주당 원내대표는 “대선 불복 특검을 하겠다는 것이냐”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이런 식의 우격다짐으로 슬그머니 넘어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