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6개 특위만 공동발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회는 21일 오후 본회의를 속개, 광주사태조사 등 7개 특위구성결의안을 처리할 예정이었으나 특위명칭 및 결의안제안내용 때문에 여야총무회담이 결렬되는 등 막바지 진통을 겪고있다.
4당 총무들은 오전 회담에서 제5공화국 비리특위 등 6개 특위의 공동발의에는 합의했으나 광주사태특위의 명칭을 놓고 야당측이 「광주민주화투쟁문제 진상조사특위」를 주장한데 대해 민정당측은 「광주민주화투쟁의 문제진상조사특위」를 고집해 회담이 결렬됐다.
이에 야당측은 오전총무회담에서 여야간에 합의된 6개 특위만 공동발의 할 것을 주장하고 광주특위는 따로 제출하는 방안을 제시, 민정당측도 이를 받아들였다고.
특위구성결의안을 따로 낼 경우 민정당은 광주사태진상 조사특위구성결의안을 낼 방침인데 운영위에 회부돼 22일 표결처리할 것으로 보인다.
여야는 광주특위를 제외한 6개 특위구성결의안을 여야공동으로 이날중 제안해 본회의에 보고, 발의시켰으며 광주특위는 여야가 각각 다른 명칭의 결의안을 제안했다.
한편 여야는 특위의 구성인원에 대해 합의, 광주 및 제5공화국비리조사특위와 법령개선 특위 29명 통일정책특위 26명, 양대선 거부정특위 22명, 지역감정해소특위·올림픽특위 각 17명으로 구성키로 했다.
이에따라 각당은 특위위원장으로 법령개선특위장 오유방(민정), 올림픽특위 강영훈(민정), 광주특위 문동환(평민), 지역감정해소특위 최영근(평민), 5공화국 비리조사특위 이기택(민주), 통일정책특위 박관용(민주), 양대선 거부정조사 특위 이종근(공화)의원을 각각 내정했다.
이에앞서 4당 총무들은 20일 오후 회담에서 특위명칭 등을 논의, 7개 특위중 광주를 제외한 6개 특위명칭은 ▲제5공화국에 있어서의 정치권력형 비리조사특위 ▲민주발전을 위한 법령개폐특위 ▲통일정책특위 ▲지역감정해소특위 ▲양대선 거부정조사특위 ▲올림픽특위 등으로 합의했다.
그러나 광주특위는 야당측이 「광주민주화 투쟁문제진상조사특위」로 제안한데 대해 민정당측이 「광주민주화투쟁의 문제진상조사특위」로 「의」자를 삽입할 것을 주강, 밤늦게까지 3시간여에 걸쳐 토론을 벌였으나 결론을 보지못했다.
4당 총무들은 또 특위의 활동시한 및 조사대상선정에 대해서도 논의, 각 특위가 자체결정토록 위임키로 의견을 모았다. 4당 총무들은 특위를 가급적 빨리 매듭짓기로 양해한 것으로 알려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