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63조어치 중국산 제품에 관세 부과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8일 미국 백악관 루스벨트룸에서 철강 노동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외국산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고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UPI=연합뉴스]

지난 8일 미국 백악관 루스벨트룸에서 철강 노동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외국산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고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00억 달러(약 63조 9000억원)어치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로이터통신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정보기술·가전·통신에서 대상 확대”

트럼프 행정부와 관세 부과를 논의한 소식통은 로이터통신에 “지적재산권을 겨냥한 조치가 매우 가까운 미래에 이뤄질 것”이라며 “정보기술·가전제품·통신 분야를 대상으로 한 조치는 확대돼 최종적으로 100가지 품목에 적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소식통은 이런 절차를 강경 보호무역론자인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정책국장이 주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주 정치전문 매체 폴리티코도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중국의 지식재산권 침해 행위에 대응해 300억 달러어치의 중국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고했다고 보도했다.
폴리티코는 트럼프 대통령이 라이트하이저 대표의 보고에 대해 더 큰 수치를 목표 삼을 것을 지시했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중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3750억 달러에 달했다. 최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경제 브레인인 류허(劉鶴) 공산당 중앙재경영도소조 판공실 주임이 워싱턴을 방문했을 때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의 대미 무역흑자를 1000억 달러 줄일 것을 요구한 바 있다.

한편 백악관은 관세 부과의 시기와 규모에 대한 로이터통신의 확인 요청을 거부했다.
홍주희 기자 hongh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