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내주 대북특사 파견 … 서훈·임종석·조명균 거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문재인 대통령이 이르면 다음주 초 대북 특사 파견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1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북한 김여정 특사의 답방 형식으로 조만간 대북 특사를 파견할 계획임을 알렸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대통령은 특사를 가급적 빨리 보내겠다는 의사를 갖고 있다”며 “대통령 의중엔 이미 누구를 특사로 보낼지도 정해져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대북 특사 파견은 지난달 25일 평창올림픽 폐회식에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일행 등이 방한했을 당시 북측과 사전 논의가 이뤄졌다고 한다. 이번 대북 특사 파견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북·미 대화 의지를 직접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국을 설득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야당은 서훈 국정원장 방북에 반대 #“간첩 잡아야할 사람을 보내면 안돼”

대북 특사로는 북한 고위급 대표단과 공식 접촉을 했던 인사가 선정될 가능성이 크다. 과거 노무현 정부는 통일부 장관, 국정원장 등 대북 관련 공식기구의 수장을 대통령 특사로 북한에 보냈다. 그래서 이번에도 서훈 국정원장과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특사 후보로 유력히 거론된다. 문 대통령과 김여정 일행의 비공개 접견에 참석하고 귀환 당일 환송 만찬을 주재한 임종석 대통령비서실장도 유력한 특사 후보다. 다만 이번 대북 특사는 고위급 특사단의 형식을 갖기 때문에 관련 인물들이 여럿 포함될 수도 있다. 대북 특사는 평창 패럴림픽(9~18일) 기간 동안에 파견될 가능성이 크다. 평창 패럴림픽 이후로 미뤄 놓은 한·미 합동군사훈련 문제가 본격 대두되기 전에 북한과 대화를 하는 편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대북 특사 이후에 대미 특사도 파견할 가능성에 대해 청와대는 이날 “대북 특사의 결과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그러나 야당은 특사 후보 1순위로 서훈 원장이 거론되는 것에 대해 반대 의사를 나타냈다. 자유한국당 정태옥 대변인은 “간첩을 잡아야 하는 국정원이 남북대화를 주관하는 것은 예전부터 잘못된 관행인 만큼 똑같은 잘못을 저지르지 말고 통일부와 외교부가 주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현 분위기에선 북한의 핵을 용인하는 거짓 평화회담의 가능성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바른미래당 하태경 최고위원도 “국정원장은 대북 비밀사업의 수장인데 국정원장이 김정은을 만나 그 앞에서 머리 숙이는 모습에 국민들 자존심이 크게 상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위문희·안효성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