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TV 시청률 전 세계적으로 호조… “50억 명 시청할 듯”

중앙일보

입력

서울역에서 평창 겨울올림픽 여자아이스하키 경기를 시청하고 있는 사람들. [뉴스1]

서울역에서 평창 겨울올림픽 여자아이스하키 경기를 시청하고 있는 사람들. [뉴스1]

2018 평창 겨울올림픽의 TV 시청률이 전 세계적으로 호조를 보이고 있다.

20일 티모루미 IOC TV·마케팅 운영국장은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 리조트 내 메인프레스센터에서 열린 IOC와 평창올림픽 조직위원회의 공동 일일 브리핑에서 “전 세계 인구 50억 명이 TV로 평창올림픽을 시청할 것으로 추산한다”고 발표했다.

방송 시간은 4년 전 소치 올림픽보다 14%가 증가했다.

루미 국장은 “지난 9일 개회식을 전 세계 3억 명이 시청했다”며 “한국에서만 1000만명이 봤다”고 소개했다.

이어 “2020년 도쿄 하계올림픽을 여는 일본과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여는 중국에서 각각 피겨스케이팅, 쇼트트랙 종목의 TV 시청률이 높게 나왔다”고 덧붙였다.

IOC는 미국 내 올림픽 주관 방송사인 NBC의 프라임 타임 시청률이 경쟁 방송 시청률을 합친 것보다 2배 이상 높다고 밝혔다.

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날 NBC의 대회 첫 주 프라임 타임 시청률이 소치 올림픽보다 줄어들었지만, 뉴미디어 환경 변화를 고려하면 선전한 편이라는 NBC의 평가를 함께 전했다.

또한 시청 시간이 좋지 못한데도 러시아와 독일 등에서 직전 대회보다 시청률이 오르는 등 유럽에서 평창올림픽의 인기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IOC는 “대회 개막 이래 9일간 NBC의 비디오 스트리밍 시청 횟수가 13억 건을 돌파했다”며 “소치 때의 4억2000만 건보다 많다”고 소개했다.

루미 국장은 “정확한 데이터는 평창올림픽이 끝난 뒤 나오겠지만, 6∼66세 연령대에서 폭넓게 평창올림픽을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TV에서 디지털 플랫폼으로 시청 소비 경향이 이동한 것으로 볼 때 젊은 층이 많이 평창올림픽을 보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특히 루미 국장은 “TV에서 시청자로 일방적으로 전달되던 방식에서 다양한 플랫폼을 통한 시청자와 콘텐츠 제작자와의 쌍방향 소통 확산이 인상적”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포털 사이트인 구글에서 ‘평창’ 관련 검색어 수치는 미국에서 가장 많았고, 인도가 뒤를 잇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지영 기자 lee.jiyo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