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관련기구 직원 「88」이후 취업문 넓을 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정부는 25일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SLOOC)소속 직원들에 대한 올림픽개최후의 취업을 위한 종합대책수립에 본격 착수했다.
SLOOC직원은 현재 1천2백23명으로 이중 일시 파견되어 있는 공무원 및 일부 법인단체소속 사원 5백22명을 제외한 자체 채용직원이 모두 7백1명이며 이들에 대해 정부는 서울 아시안게임 및 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지원법으로 조직위 해산후의 취업을 보장하고 있다.
정부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취업보장위원회를 구성하게 되어있으며 이날 이 취업보장위원회의 첫 실무위원회(위원장 최일홍체육부차관)가 체육부 회의실에서 열려 종합대책안을 심의했다.
실무위원회는 이날 취업대상기관으로 각 국영기업체·공공단체·학교·금융기관·언론기 관·민간기업체등을 망라, 모두 84개의 기업·단체를 선정했는데 정부투자기관이 23, 정부출자 및 츨연의 연구기관이 38, 민간기업체가 23개로 되어있다.
실무위원회는 또 각 대상기관의 연간 이 취업상황을 면밀히 분석, 연간퇴직인원의 17%에 해당하는 인원만 배정함으로써 각기업·단체의 고유인력수급에 압박을 주지 않도록 배려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최근 이 위원회의 실무대책반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SLOOC자체채용직원 7백1명 (21명은취업불원)외에 파견 공무원 및 단체법인 사원증에도 1백여명은 원대복귀보다 타기관으로의 교류를 원하고 있음이 드러나 이들의 재배치도 주선키로 했다.
또 서울올림픽관계로 창설되어 있는 범민족올림픽추진 중앙협의회와 스포츠과학학술대회 조직위원회의 직원(82명)도 여기에 포함, 취업대상인원은 모두 7백62명이다.
한편 정부는 서울 올림픽후 방대한 규모의 올림픽 공원등 체육시설을모두 체육진흥재단에 기증하여 사회체육복지시설로 운영할 방침을 사실상 확정해놓고 있으며 이 체육진홍재단은 이에따라 5백여명의 인력으로 대폭 확대개편될 예정이어서 SLOOC등 관계직원들의 취업문호는 매우 넓어질 전망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