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서 러 선수단 못 본다…IOC, 러 참가 불허 "개인자격 출전만 허용"

중앙일보

입력

2018 평창겨울올림픽 개막까지 2달 가량 남은 가운데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러시아의 올림픽 출전을 금지하기로 결정했다. IOC가 이같이 한 국가를 대상으로 올림픽 출전을 금지시킨 것은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독일, 일본에 이어 네번째다.

IOC가 러시아의 2018 평창겨울올림픽 출전을 금지시켰다. 사진은 지난2014 소치겨울올림픽 개회식 당시 입장하는 러시아 선수단. [AP=연합뉴스]

IOC가 러시아의 2018 평창겨울올림픽 출전을 금지시켰다. 사진은 지난2014 소치겨울올림픽 개회식 당시 입장하는 러시아 선수단. [AP=연합뉴스]

IOC는 5일(현지시간) 스위스 로잔에서 집행위원회를 열고, 러시아 선수단의 평창올림픽 출전을 금지했다. 국가 주도의 도핑 조작 스캔들에 초강경 징계를 내린 것이다.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은 집행위를 마치고 "올림픽 정수를 향한 전례 없는 공격"이라며 러시아의 도핑 조작을 규탄했다.

IOC는 다만 대회 출전을 원하는 러시아 국적 선수의 개인자격 출전은 가능케 했다. 약물 검사를 문제없이 통과한 선수는 출전이 가능한 것이다. 개인 자격 출전을 원하는 러시아 선수는 IOC가 독자 설립한 '독립도핑검사기구(ITA)의 발레리 프루네롱 위원장과 IOC, 세계반도핑기구(WADA), 국제경기연맹총연합회(GAISF) 내 도핑방지스포츠부에서 지명한 전문가 패널로부터 엄격한 도핑 심사를 받아야 한다.

개인자격 출전시 국가명·국기 사용 못 해…시상대 올라도 국기·국가 대신 오륜기·올림픽 찬가

개인자격으로 출전하는 경우, 이들은 러시아 선수단이 아닌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Olympic Athlete from Russia, OAR)'로서 나서게 된다. 개인전과 단체전 모두 참가가 가능하지만, 러시아 국가명과 국기가 아닌 OAR 글씨와 올림픽 오륜기가 새겨진 유니폼을 입어야 한다.

OAR 소속으로 나선 러시아 선수들이 시상대에 오른다 하더라도 러시아 국기 대신 오륜기가 걸리고, 국가 역시 러시아 국가가 아닌 '올림픽 찬가'가 나오게 된다.

IOC가 이처럼 한 국가의 올림픽 출전을 금지시킨 것은 이번이 네번째다. 남아공은 1964년 도쿄올림픽부터 19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까지 무려 28년간 참가가 금지됐다. 흑백분리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으면서 이같은 결정이 내려졌던 것이다. 2차 세계대전을 일으킨 독일고 일본도 세계대전 종전 후 올림픽에 초대받지 못했다. 다만 러시아와 같이 도핑을 이유로 국가 전체가 출전 징계를 받은 것은 처음이다.

한편,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을 비롯해 알렉산드르 쥬코프 러시아올림픽위원회 위원장은 그간 이같은 제재가 모욕적이라며 강력히 반발해온 만큼, 평창겨울올림픽을 보이콧하고 개인자격으로의 출전도 없을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박상욱 기자 park.lepremi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