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하와이, 북핵 공격 주민대피훈련 시작…매달 1일 사이렌

중앙일보

입력

미국 하와이가 다음 달 1일(현지시간)부터 매달 1일 점심시간 직전에 주(州) 전역에 사이렌을 울리고 북한의 핵 공격에 대비하는 주민대피훈련을 시행한다.

북한이 지난 9월 15일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을 이동식발사차량(TEL)에서 발사한 장면이 노동신문을 통해 확인됐다.(위사진). 북한은 지난 5월과 8월 두 차례 이동식발사차량에서 미사일을 분리해 평지에 고정하고 발사했다.(아래사진). 실전 배치 단계의 전력화에 들어간 화성-12형 미사일의 '장착발사'가 확인됨에 따라 우리 정보당국의 추적이 한층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 노동신문]

북한이 지난 9월 15일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을 이동식발사차량(TEL)에서 발사한 장면이 노동신문을 통해 확인됐다.(위사진). 북한은 지난 5월과 8월 두 차례 이동식발사차량에서 미사일을 분리해 평지에 고정하고 발사했다.(아래사진). 실전 배치 단계의 전력화에 들어간 화성-12형 미사일의 '장착발사'가 확인됨에 따라 우리 정보당국의 추적이 한층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 노동신문]

하와이주 정부 비상관리국(HEMA)은 구(舊)소련이 무너진 이후 약 30년 만에 처음 실시하는 핵 공습 대비훈련의 세부내용을 공개했다고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와 ABC 방송 등이 27일(현지시간) 전했다.

HEMA 측은 “사이렌이 울리면 주민들이 실제로 핵 공격에 대비해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딱 15분 남았다는 뜻”이라며 “사이렌이 울리면 일단 실내로 들어가서 대피처에 머물며 라디오 방송 주파수를 맞춰달라”고 주문했다.

번 미야기 하와이주 정부 비상관리국(HEMA) 국장. [ABC 방송 캡처=연합뉴스]

번 미야기 하와이주 정부 비상관리국(HEMA) 국장. [ABC 방송 캡처=연합뉴스]

번 미야기 HEMA 국장은 “사랑하는 사람에게 전화를 걸 시간이나 아이들을 태우러 갈 시간조차 없다. 심지어 지정된 대피소를 찾을 여유도 있을 리 없다”면서 행동요령을 평소에 몸에 익혀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사이렌 경보는 기존의 쓰나미 대비 시스템을 활용해 내보낸다. 대피훈련 대상자는 140만 전체 주민이다. 훈련 방식은 냉전 시대에 자주 했던 ‘웅크리고 숨기’(duck and cover) 방식의 대피 훈련과 유사하다.

한편 하와이주 정부는 100킬로톤(kt)급 핵폭탄이 1000피트(305m) 상공에서 터질 경우 반경 8마일(13㎞)에 있는 주민들이 직접적 영향을 받게 되며, 1만8000명 이상의 사망자와 5만∼12만 명의 부상자가 나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하와이주가 북핵 공격을 받을 경우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 있는 시설이나 지점은 대니얼 K.이노우예 공항, 히컴 공군기지, 호놀룰루 항, 진주만 등이 꼽힌다.

하와이는 북한에서 7200㎞ 떨어져 있어 중장거리 탄도미사일(IRBM)인 화성-12형의 사거리 밖에 있지만, 북한이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을 완성하면 사거리 안에 놓일 수 있다.

추인영 기자 chu.in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