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생생 리포트] “진짜 낳을 거냐” “사표 내라” … 비혼모의 버거운 현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서울 대방동 카페 ‘인트리’에서 비혼모 김슬기·조가영·안소희씨(왼쪽부터)가 한국 사회에서 비혼모로 사는 힘겨운 삶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신인섭 기자]

서울 대방동 카페 ‘인트리’에서 비혼모 김슬기·조가영·안소희씨(왼쪽부터)가 한국 사회에서 비혼모로 사는 힘겨운 삶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신인섭 기자]

“그래서, 진짜 낳을 거야?” 처음 임신 소식을 전했을 때 주위에선 하나같이 이렇게 말했다. 솔직히 자신이 없었다. 산부인과 번호가 적힌 종이를 손에 쥐고 몇 번을 고민했다. 고민 끝에 아이를 낳기로 마음먹었다. 지인들은 “지금이라도 다시 생각해보라”며 말렸다. 부모님조차 딸이 임신 7개월이 될 때까지 임신중절이 가능한 병원을 알아보고 다녔다.

3명의 비혼모들이 들려준 경험담 #부모님이 아기 입양기관 보냈지만 #애 없이 못 살 것 같아 내가 데려와 #아이의 생명권을 말하는 낙태죄 #애·엄마 사람답게 살 권리 말 안 해 #어떤 조건에서 태어난 아이라도 #안심하고 자랄 수 있는 환경 필요 #잘못한 적 없어 … 얼굴 공개 떳떳 #부끄럽게 여길 거란 생각이 편견

지난 14일 오후 서울 대방동에서 만난 세 명의 비혼모가 들려준 경험담을 요약하면 위의 글이 된다. 21개월 된 딸 해솔이를 키우는 조가영(33)씨, 올해 초등학교에 들어간 시우의 엄마 안소희(30)씨, 그리고 이제 26개월인 아들 한결이와 둘이 살고 있는 김슬기(24)씨, 세 사람이 공히 말했다. 돌이켜 보면 모든 건 ‘나를 지키기 위한’ 선택의 문제였다고.

세 사람은 최근 비혼모 단체 ‘인트리’가 서울시의 지원을 받아 제작한 비혼모 인식 개선 영상에 출연했다. 영상에서 이들은 아이와 함께 나와 각자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꺼냈다. 쉽지 않은 결정이었을 것으로 짐작됐다. 얼굴과 실명이 모두 공개되는 게 부담되진 않는지 물었다. 조씨는 “그런 걸 걱정할 만큼 잘못된 행동을 한 적이 없다. 우리가 스스로를 세상에 알리는 데 떳떳하지 못할 거라고, 부끄럽게 여길 거라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편견 아니냐”고 되물었다. 뜨끔한 마음을 다잡고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 안소희씨(이하 안)=“20대 초반에 3개월 정도 만난 남자친구가 있었는데 덜컥 임신이 됐어요. 걔가 능력이 없어 못 키우겠다고 하더라고요. 혼자 키우겠다고 했죠. 병원에 갔더니 의사는 대뜸 ‘애 낳을 거냐’고 묻더라고요. 낙태 수술 비용까지 알려주면서요. 부모님께는 시우 낳기 일주일 전까지 말 못했어요. 임신 사실을 알고 엄마가 그러시더라고요. ‘지금이라도 어떻게 안 되니?’”

▶ 조가영씨(이하 조)=“전 끝까지 안 낳으려고 했어요. 결혼할 생각도 없었고 저 개인의 삶이 소중했거든요. 그런데 좀 크고 안전할 것 같은 병원에서는 불법이라 수술을 안 해주더라고요. 어영부영 7개월이 됐어요. 직업이 보육교사였는데 직장에서도 ‘결혼도 안 하고 임신했다’는 이유로 잘렸어요. 사회에서 점점 고립돼 가는 기분이었어요.”

▶ 김슬기씨(이하 김)=“임신 사실을 7개월 때 알았어요. 아이를 지우라는 부모님 뜻이 완강해 시골 병원까지 알아봤는데 ‘지금 수술을 받으면 산모 목숨까지 위험하다’고 하더라고요. 출산 후 부모님은 아기를 바로 입양기관에 보냈는데 도저히 제가 아기 없이는 못살 것 같아 다시 데려왔어요. 지금은 아이와 둘이 살아요.”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국내 비혼모 숫자는 2만4487명이다. 같은 해 한국미혼모지원네트워크가 비혼모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이들의 월평균 소득은 117만원이었다. 직장 생활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147명이었는데 그중 임신으로 직장을 중단한 사람이 144명이었다.

▶ 조=“기초수급 혜택을 받아 수급비가 대략 80만원 정도 나오고 있어요. 이걸로 둘이 살아요. 당연히 빠듯하죠. 그래서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놓고 카페에서 아르바이트를 해요. 그나마 전 사정이 나은 편이에요. 부양의무자의 소득이 잡히면 수급도 못 받아요. 아이를 낳고 나서 부모와 연을 끊게 되는 비혼모가 많거든요. 그런 경우에도 부모의 소득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수급이 안 나와요.”

▶ 김=“한결이를 어린이집에 보내고 간호조무사 시험을 보러 학원에 다녔거든요. 그런데 애가 몸이 약해 자주 어린이집을 조퇴하거나 못 나가요. 그러면 맡길 데가 없잖아요. 한 번은 학원에 데리고 간 적도 있는데 선생님이 ‘애를 데리고 오면 어떡하냐’고 면박을 주더라고요.”

▶ 조=“그런데 직업이 생기면 수급이 또 끊겨요. 그래서 일을 아예 안 하는 비혼모도 많아요. 어차피 괜찮은 데 취직하기도 어려우니까요.”

최근 확산된 낙태죄 폐지 찬반 논쟁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도 물었다.

▶ 조=“선택은 당사자의 몫이에요. 여기 모인 우리도 선택을 한 거잖아요. 이걸 법으로 정하는 게 과연 맞는 걸까요. 태어난 아이와 여성의 삶은 누가 책임져 주나요. 낙태죄는 아이의 ‘생명권’을 말하면서도 아이가 ‘사람답게 살 권리’는 말하지 않아요.”

▶ 안=“최근 아이 아빠를 상대로 양육비 소송을 시작했어요. 아이는 커갈수록 아빠를 찾는데, 당사자는 모르는 척 누릴 거 다 누리며 사는 모습에 화가 났어요. 보통 양육비로 요구하는 평균 금액이 월 50만원이에요. 그 이상을 요구하면 따로 또 증빙자료를 제출해야 한대요. 소송 과정에서 남자 측에 돈 뜯어내려는 ‘꽃뱀’ 취급받는 경우도 허다해요.”

▶ 조=“상황이 이러니 소송도 포기하고 그냥 혼자 아이를 키우는 비혼모가 많죠. 아이를 낳든 지우든 왜 모든 책임은 여성이 져야 하는 걸까요.”

한 시간 정도로 예상한 인터뷰는 두 시간 가까이 이어졌다. 하고 싶은 이야기가 남아 있었지만 아이에게, 생계 터전으로 돌아갈 시간이었다. 세 사람이 찍은 영상의 마지막에는 이런 문구가 등장한다. ‘어떤 조건에서 태어난 아이라도 안심하고 자랄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홍상지 기자, 이아람 대구일보 기자 hongsa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