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지진 안전지대' 아냐…내진확보율 76.7% 그쳐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박정렬 기자] 지난 15일 포항에서 규모 5.4의 강진이 일어난 후 계속된 여진으로 국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특히 환자·노약자 등 재난 발생 시 상대적으로 대처가 어려운 이들이 거주하는 사회복지시설·의료기관이 지진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정의당 윤소하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이 20일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내진설계 대상이 되는 사회복지시설과 의료기관의 내진확보율이 각각 35.5%, 76.7%에 불과했다.

의원실에 따르면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9.12 경주 지진이 발생한 후 국토부 건축행정시스템을 통해 사회복지시설의 내진실태를 전수조사한 결과 대상시설 1만5555개소 중 3분의 1 가량인 5528개소만이 내진성능을 확보했다.

또 복지부 조사 결과 내진설계 대상인 종합병원·병원 등 의료기관 3294개소 중에선 10곳 중 2곳(23.3%·765개소)이 '내진보강 필요' 판정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윤소하 의원은 “몸이 아픈 환자와 노약자, 장애인은 지진이 발생하면 안전에서 가장 취약한 약자다. 병원·요양원·사회복지시설 등의 내진 성능은 필수적으로 확보해야 한다”며 “시설의 내진보강과 아울러 지진 발생 시 재난약자의 대피 가이드라인 및 대응 매뉴얼 등 재난 안전대책이 수립되야 한다”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