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그룹, 실적 ‘하늘’ 날았는데...고용증가는 ‘바닥’

중앙일보

입력

취업박람회 자료사진. [연합뉴스]

취업박람회 자료사진. [연합뉴스]

국내 30대 기업의 올해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규직 고용증가는 0.7%에 그치는 등 고용의 질은 더 나빠진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12개 기업은 오히려 직원 수가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16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30대 그룹 계열사 가운데 지난 14일까지 3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261개사의 고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분석됐다. 이들 30대 기업은 올해 들어 3분기 말까지 누적 영업이익이 82조 7023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5.4%나 급증했다.

그러나 지난 9월 말 현재 30대 기업의 고용 현황은 총 94만 5067명으로 집계됐다. 작년 9월 말 기준 이들 기업의 임직원 숫자는 93만 3615명이었다. 1.2%(1만 1452명) 증가하는 데 그친 것이다. 고용창출이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는 대목이다.

[자료=CEO스코어]

[자료=CEO스코어]

심지어 고용의 질은 더 나빠졌다. 정규직 근로자는 87만 9979명으로 집계돼 0.7% 늘어났지만, 기간제 근로자는 6만 5088명으로 8.3%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별로 보면 LG그룹이 1년 사이 4793명을 더 고용했다. 30대 기업 중 가장 많이 증가했다. ▶GS 4518명 ▶대림 2338명 ▶삼성 2074명 ▶현대차 1505명 ▶포스코 1216명 등 순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현대중공업은 3449명 고용을 줄였다. 대우조선해양도 2254명 줄여 최하위를 기록했다. 삼성 계열사인 삼성중공업(916명)까지 포함하면 조선 3사에서만 6190명이나 고용 감소가 발생했다.

계열사별로는 삼성전자가 4462명 늘어 최고였고 ▶GS리테일 2838명 ▶대림산업 2359명 ▶LG이노텍 2312명 ▶LG화학 1612명 등이 뒤를 이었다.

글로벌 반도체 호황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1121명) 2곳에서 1년 새 고용이 5583명이 늘어 전체 고용 증가분의 절반가량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원석 기자 oh.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