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재산, 1년 만에 6700억원 증발?…그 이유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노스캐롤라이나를 방문하기 위해 전용기 에어포스원에 오르며 뒤돌아 손짓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노스캐롤라이나를 방문하기 위해 전용기 에어포스원에 오르며 뒤돌아 손짓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미국 내 부호 순위가 급락했다.

17일(현지시간)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발표한 미국 400대 부호 순위표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년(156위)보다 무려 92계단이나 떨어진 248위를 기록하며 스냅챗 공동창업자 에번 스피걸과 같은 순위에 올랐다. 포브스가 추정한 올해 트럼프 대통령의 순 자산 규모는 31억 달러(약 3조5000억원)로, 작년(37억 달러)과 비교하면 6억 달러(약 6780억원)나 감소했다.

포브스는 수개월 동안 공개된 금융자료와 부동산 등재기록, 자산평가사들의 조언 등을 종합해 트럼프 대통령의 재산을 추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 이후 역대 대통령들이 거의 빠짐없이 제출한 납세자료의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스스로 자신의 재산이 총 100억 달러에 달한다고 주장한다.

포브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자산가치 감소가 뉴욕 주변 부동산 가격 약세 때문으로 분석했다. 포브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다수 부동산을 보유한 맨해튼과 5번가 주변 부동산 시세가 다소 떨어진 영향이 크다”면서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평가액이 4억 달러(약 4520억원) 정도 줄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6600만 달러(약 750억원)의 개인 돈을 지출했으며, 트럼프 대학 소송의 합의금으로도 2500만 달러(약 280억원)를 써야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마이애미, 스코틀랜드 등에 보유한 골프장 시세도 최근에는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포브스의 이번 조사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가 890억 달러(100조8000억원)의 재산을 가진 것으로 평가돼 같은 조사에서 24년째 1위를 지켰다. 이어 아마존 최고경영자 제프 베저스가 815억 달러(92조3000억 원)로 뒤를 바짝 쫓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