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민은행 통한 북과 신규거래 중단 조치 없었다"

중앙일보

입력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북한과의 신규 거래를 중단하도록 일선 은행에 지시했다는 언론 보도를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다. 이와 관련 루캉(陸慷)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2일 정례 브리핑에서 “내가 알고 있기로는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지시한 사실이 없다고 의미다. 그러면서 “중국은 북한의 핵실험과 핵 프로그램에 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엄격하고 정확하게 이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날 로이터 통신은 “인민은행이 북한과의 신규 거래를 중단하고 현재의 대출 규모도 줄일 것을 일선 은행에 통보했다”고 현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도 추가적인 대북 독자제재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밝히면서 중국이 이와 관련해 선제적인 조치를 취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 중앙은행이 자국 은행들에게 북한과의 거래를 즉시 차단하는 대담한 조치를 했다"고 소개하면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에 감사한다”고 말했다.
AP통신 등 외신들은 “미ㆍ중이 이번 대북 제재를 둘러싸고 서로 다른 얘기를 하고 있다. 이를 둘러싼 진실공방이 벌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루 대변인은 또 트럼프의 새 행정명령에 대해 “중국은 안보리 틀에서 벗어난 독자 제재에 대해 줄곧 반대해 왔다. 이런 방침은 변함이 없다”며 반대 의사를 밝혔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 [중국 외교부]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 [중국 외교부]

한편 루 대변인은 지난 20일 열린 한ㆍ중 외교장관 회담에서의 ‘한반도 전술핵 재배치’ 언급 여부와 관련된 양국 발표 차이에 대해서도 말했다. 그는 “기록을 찾아봐라. 한국은 이미 여러 차례 공개된 장소에서 한반도 전술핵 재배치 반대를 표명했다”고 설명했다.하지만 뉴욕 회담에서의 언급 여부는 직접 거론하지 않았다. 뉴욕 회담에선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전술핵 배치’ 관련 발언을 하지 않았지만, 중국이 기존 한국의 공식 입장을 공식 발표문에 담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중국 외교부는 21일 공식 사이트를 통해 "뉴욕 회담에서 강 장관이 한국은 시종 한반도 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며, 결코 다시는 한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나지 않길 바란다. 한국은 한반도 비핵화를 견지하고 전술핵 반입 불가 원칙을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고 주장했다.
베이징=신경진 특파원 shin.kyung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