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소변 보면 당뇨·고혈압 체크까지…친환경·건강 변기

중앙일보

입력

울산과학기술원(UNIST)의 과학·예술 융합 프로젝트 사이언스월든팀이 개발한 친환경 변기 ‘비비(beevi) 변기’. [사진 울산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UNIST)의 과학·예술 융합 프로젝트 사이언스월든팀이 개발한 친환경 변기 ‘비비(beevi) 변기’. [사진 울산과학기술원]

‘똥을 보면 건강이 보인다’는 말이 있다. 이 말과 함께 ‘똥을 누면 돈을 번다’는 새로운 개념을 실현한 변기가 있다. 바로 울산과학기술원(UNIST·유니스트)의 과학·예술 융합 프로젝트 사이언스 월든 팀이 개발한 친환경 건강 변기 ‘비비(beevi)’다.

UNIST 개발 ‘비비 변기’ DDP에 27일까지 전시 #물 없이 대변 분쇄해 조리·난방 에너지로 사용 #대·소변에서 당, 대장균 등 분석해 앱으로 알려줘 #대변을 에너지로 이용하는 ‘똥본위화폐’ 실험 일환

유니스트는 이 변기가 21~27일 서울 중구 을지로 동대문 디지털플라자에 전시된다고 20일 밝혔다. ‘2017 서울 생활의 발견-은밀한 공예(空藝)’ 전시의 하나다.

전시되는 변기는 1·2세대 두 종류다. 두 변기는 모두 환경과 건강을 생각한 미래 화장실 모습을 보여준다. 실제로 작동하는 모델을 공개하는 것은 이번 전시가 처음이다.

비비 변기는 대변을 진공으로 빨아들여 에너지 생산시설로 보내고, 바이오 센서가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해준다. [사진 울산과학기술원]

비비 변기는 대변을 진공으로 빨아들여 에너지 생산시설로 보내고, 바이오 센서가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해준다. [사진 울산과학기술원]

1세대 비비 변기는 2015년 개발됐다. 이 변기는 양변기 아래쪽에 건조기와 분쇄기가 있어 대변을 가루로 만든다. 이 가루를 미생물 에너지 생산 시설에 넣으면 메탄가스로 바꿔 난방·조리 연료로 쓸 수 있다. 물을 저장할 공간과 배수관이 필요 없어 기존 수세식 변기보다 크기가 작다.

이 변기 디자인에 참여한 조은호(27) 유니스트 융합경영대학원 학생은 “화장실을 뜻하는 토일렛(toilet)의 어원인 프랑스어 뚜왈렛(toilette)은 화장을 고치는 장소라는 뜻”이라며 “화장대의 의자가 연상되게 유선형으로 디자인했다”고 설명했다. 또 이 변기는 앉았을 때 상체와 다리의 각도가 배변에 가장 유리하다는 35도가 되게 설계됐다.

지난 8월에 개발된 2세대는 기능이 향상됐다. 건조기와 분쇄기를 없애고 대변을 진공으로 빨아들여 에너지 생산시설로 바로 보낸다. 이 과정에서 물 0.5ℓ가 필요하다. 일반 변기에 들어가는 물 12ℓ보다 훨씬 적은 양이다. 이 변기에는 자외선램프가 설치돼 변기 내부와 앉는 부분을 살균·소독해준다. 또 대·소변을 분석하는 바이오 센서가 장착돼 건강 상태를 스마트폰에서 볼 수 있다.

비비 변기 디자인팀. (왼쪽부터) 조은호 학생, 이현경 교수, 배정현 교수. [사진 울산과학기술원]

비비 변기 디자인팀. (왼쪽부터) 조은호 학생, 이현경 교수, 배정현 교수. [사진 울산과학기술원]

대·소변을 보면 실시간으로 변기가 성분 등을 분석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 결과를 보여주는 방식이다. 사이언스월든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조재원(54) 유니스트 도시환경공학부 교수는 “소변의 산·염기도(PH), 당, 단백질 등을 분석해 당뇨나 고혈압 같은 병의 징후를 알 수 있고, 변기 속 장치가 대변을 떼내어 대장균 등을 검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 교수는 “다만 소변은 실시간 검사가 가능하지만 대변은 시간이 어느 정도 걸리는지 명확하지 않다”며 “내년에는 강남세브란스병원과 함께 갑상선 이상 징후를 알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니스트는 2세대 비비 변기를 내년 2월 과학과 일상을 접목한 캠퍼스 안 실험실 ‘과일 집’에 설치할 계획이다.과일 집은 에너지 생산 시설을 갖춰 대·소변으로 보일러를 돌리거나 샤워를 할 수 있는 곳이다.

울산과학기술원 전경. [중앙일보]

울산과학기술원 전경. [중앙일보]

사이언스월든팀은 2015년부터 인분(人糞)을 바이오에너지로 바꾸고 그 가치만큼 화폐로 사용하는 ‘똥본위화폐’를 연구하고 있다. 지난 3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22년까지 5년 동안 이 연구에 연구비 100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울산=최은경 기자 chin1chu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