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중국 “북한 대사관 책임자에 엄정 항의” 지재룡 초치 확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4일(현지시간) 중국 푸젠성 샤먼에서 열린 브릭스(BRICS,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 정상회의에서 만난 5개국 정상들. 왼쪽부터 미셰우 테메르 브라질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제이컵 주마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AFP=연합뉴스]

4일(현지시간) 중국 푸젠성 샤먼에서 열린 브릭스(BRICS,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 정상회의에서 만난 5개국 정상들. 왼쪽부터 미셰우 테메르 브라질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제이컵 주마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AFP=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북한 핵실험에 따른 후폭풍 진화에 나섰다.

교역 중단 시사 트럼프에 “수용 못해” #방사능 수치 발표하고 보도 통제 #북핵 반대 국내 여론 의식 빠른 조치

겅솽(耿爽) 외교부 대변인은 4일 오후 “(북한 6차 핵실험과 관련해) 주중 북한 대사관 책임자에게 엄정한 항의를 제기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재룡 북한 대사를 외교부로 초치한 사실을 간접 확인한 것이다. 이어 겅 대변인은 “중국은 북한의 핵 미사일 개발을 반대해 왔고, 한반도 비핵화에 전념하고 있다. 북한도 이를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우리는 모든 당사국 특히, 북한이 긴장 정세 완화를 위해 노력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북한과 거래하는 어떤 나라와도 무역을 중단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받아들일 수 없다. 객관적이고 공평하지 않다”고 말했다. 북한 핵실험에 대한 발빠른 외교적 조치와 함께 미국 압박을 수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관련기사

중국 정부는 방사능 오염 우려와 북핵을 반대하는 국내 여론을 의식한 대책 마련에도 나섰다. 북·중 국경 인접지역에서의 방사능 측정과 보도 통제, 인터넷 댓글 삭제 등을 통해서다. 실제 북한 핵실험 직후 중국의 대응은 신속했다. 중국의 원전 안전을 책임지는 국가핵안전국과 환경보호부는 북한 핵실험으로 인한 인공지진 발생 16분 뒤인 3일 오전 11시46분(현지시간) 북핵 방사능 환경 대응 응급대책을 발동해 2급 비상대응태세에 들어갔다. 북한과 인접한 동북 3성과 산둥(山東)성에 설치한 38개 관측소를 통해 대기 중 방사능 수치를 채집해 3일 오후 5시와 11시 두 차례 조사 결과를 발표했고, 4일에도 측정 수치를 추가 발표했다.

백두산과 인접한 바이산(白山)시 싼다오거우(三道溝)진 등에서 측정한 방사능 수치가 상승했지만 환경안전부는 “북한 핵실험은 현재 중국 환경과 대중에게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고 밝혔다.

언론 통제도 대폭 강화됐다. 푸젠(福建)성 샤먼(厦門)에서 열리고 있는 신흥 5개국 정상회의(BRICS·브릭스)를 염두에 둔 듯 4일 대부분 매체는 중국 외교부가 전날 오후 발표한 성명만 보도하는 데 그쳤다.

중국중앙방송(CC-TV)의 메인 뉴스인 신원롄보(新聞聯播)는 북한 핵실험 관련 보도 없이 외교부 성명만 반복해 전했으며, 당 기관지 인민일보도 4일 국제면에 1단으로 외교부 성명을 게재하는 데 그쳤다. 환구시보가 유일하게 3일 오후 인터넷에 대북 무역 전면 중단을 막아야 한다는 사설을 게재했으나 곧 검열로 인터넷에서 삭제됐다. 4일자 환구시보와 영자지 글로벌 타임스는 사설에서 “중국 사회가 북한의 새로운 핵실험에 무척 분노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대북 전면 금수와 같은 극단적인 제재 수단에 쉽게 동의해선 안 된다”며 “중국이 일단 북한의 석유 공급을 완전 중단하고 심지어 중·북 국경을 폐쇄한다면 북한의 핵·미사일 활동 저지는 불확실하지만 북·중 간 전면적이고 공개적인 대립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또 “이 경우 북·중 모순이 짧은 시간 안에 한반도를 둘러싼 가장 돌출된 갈등으로 부각되면서 북·중 대립이 북·미 대립을 압도할 것”이라며 “중국의 국가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는 지난 4월 보도와는 180도 달라진 모습이다. 환구시보는 4월 24일자 사설에서 “평양이 6차 핵실험을 강행한다면 중국은 대북 석유 무역 제한을 포함한 더욱 엄격한 안보리 제재 결의안을 지지할 것”이라고 강조했었다.

중국 정부는 또 네티즌의 관련 댓글도 실시간으로 삭제하며 정부에 불리한 여론 확산 차단에 나섰다. 인기 뉴스 포털인 ‘진르터우탸오(今日頭條)’의 중국 외교부 성명 기사에 붙었던 1만2000여 건의 댓글이 모두 삭제됐다고 싱가포르 연합조보가 전했다.

베이징=신경진 특파원 shin.kyung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