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한나라 “릴리안만 이름 공개된 이유를 밝혀라” …법적 대응도 강구

중앙일보

입력

‘릴리안 생리대’의 환불을 시작한 ‘깨끗한나라’가 28일 부작용 문제를 제기한 여성환경연대와 김만구 강원대 교수팀에 대해 공개적으로 요구사항을 밝히며 법적 대응 수단을 강구하겠다고 나섰다.

릴리안 생리대의 제조사인 깨끗한나라 홈페이지. [사진 깨끗한나라 홈페이지 캡처]

릴리안 생리대의 제조사인 깨끗한나라 홈페이지. [사진 깨끗한나라 홈페이지 캡처]

깨끗한나라는 보도자료를 통해 “여성환경연대와 김 교수팀은 릴리안 외 9개 제품에서도 휘발성유기화합물이 검출됐지만 릴리안만 공표해 마치 릴리안에만 특별한 문제가 있는 것 같은 선입견을 줬다”고 주장했다. 이어 “시험 결과 발표 이후 릴리안만 외부에 공개된 사유와 경위를 밝히라”고 요구했다.

여성환경연대는 지난 3월 김 교수팀과 함께 생리대 유해물질 검출실험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10개 생리대에서 발암성 물질과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성분이 발견됐다”고 주장했지만, 제품명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후 김 교수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10개 중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농도가 가장 높았던 것이 릴리안이라고 공개해 파문이 일파만파로 커졌다.

일각에선 여성환경연대와 강원대가 유한킴벌리와 가까운 관계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여성환경연대에 생리대 업계 1위인 유한킴벌리의 김모 상무이사가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 상무이사는 지난해 강원대와 유한킴벌리가 공동 주관한 ‘제9회 아태환경포럼’에 직접 참석하기도 했다. 강원대는 유한킴벌리로부터 2014년 환경연구센터에 1억원을 지원받았다.

깨끗한나라는 또 “나머지 9개 브랜드의 상세 내용을 공개하고, 시험 제품 선정 기준과 시험 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을 해달라”고 요구했다. “그렇지 않으면 시험 결과의 공정성과 순수성에 대한 의혹이 커지고 소비자들의 혼란도 가중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여성환경연대는 공개 요구에 지난 24일 자정까지 나머지 생리대들도 공개하겠다고 밝혔다가 법적 검토가 필요하다며 발표를 연기했다. 이후 26일엔 “이미 지난 3월 시험 결과를 식약처에 전달했고 식약처가 전수조사에 착수한 상황이므로 정보 공개는 당국에 일임한다. 미공개 결정이 조사의 목적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입장을 바꿨다.

송우영 기자 song.wooy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