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예보 통제소 非전문가에 맡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7면

홍수예보에 전문인력을 배치하지 않고, 상습 수해지역을 홍수예보지점으로 지정하지 않는 등 정부의 홍수 대비 태세가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원은 지난해 10월부터 올 3월까지 건설교통부 등 공공기관의 자연재해 대비실태를 감사한 결과 건교부에서는 1995~2002년 한강홍수통제소장을 열번이나 바꾸는 등 수시로 인사이동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게다가 비전문가를 각 홍수통제소의 홍수예보 담당자로 배치하면서 자주 이동시켜 대다수 직원이 홍수예측을 위한 프로그램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감사원은 또한 홍수예보지점은 홍수피해 가능성이 큰 지역 위주로 정해야 하지만 건교부에서는 2002년 주로 수문조사를 위해 필요한 지점 등을 홍수예보지점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임진강 수계에서 상습 수해지구인 전곡.문산 지역 대신 제방이 높아 수해 가능성이 작은 적성.군남이 예보지점으로 지정됐다.

낙동강 수계 진동 지점의 경우 제방높이가 8.65m인데도 위험수위는 이보다 높은 10.5m로 지정돼 있는 등 홍수예보수위도 불합리하게 지정돼 있었다.

이 밖에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이 78~95년 낙동강 연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하천 안쪽에 제방을 쌓기 위해 하천바닥에서 긁은 흙을 이용했을 뿐 아니라 제방 폭이나 높이도 부족하게 설치했다고 밝혔다.

권근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