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중 미세먼지 속 박테리아 83% 동일…'中 미세먼지 유입 개연성 높아'

중앙일보

입력

서울대 보건대학원 김호 연구팀은 지난 1년 한국, 중국, 일본의 미세먼지를 분석해 서로 간의 연관성을 살피는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포토]

서울대 보건대학원 김호 연구팀은 지난 1년 한국, 중국, 일본의 미세먼지를 분석해 서로 간의 연관성을 살피는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포토]

한국과 중국의 초미세먼지(PM 2.5) 속 박테리아(세균) 종류가 83%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 내 미세먼지가 국내에 유입됐을 거라는 추측을 가능케 하는 대목이다.

28일 서울대 보건대학원 김호·이재영·이승묵 교수 연구팀은 서울, 중국 베이징, 일본 나가사키의 초미세먼지에 든 부유 미생물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최근 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지난 1년간 서울대, 중국 베이징대, 일본 나가사키대의 건물 옥상에서 미세먼지를 채집한 뒤 유사성을 확인하기 위해 박테리아 DNA를 추출해 염기서열을 분석했다.

그 결과 베이징과 서울에서 발견된 부유 박테리아의 다양성은 각각 나가사키의 2배, 1.5배 수준이었다. 세 도시의 미세먼지에서 검출된 부유 미생물은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 페르미쿠테스(Fermicutes), 악티노박테리아(Actinobacteria)가 전체의 67.3%를 차지했다. 이들 박테리아는 모두 인체에서 발견되는 종이다.

박테리아 종의 유사성은 서울과 베이징이 83% 일치됐고, 서울과 나가사키는 73%로 나타났다. 특히 겨울과 봄에 유사성이 높았고 여름에 낮았다.

연구팀은 이 같은 유사성이 거울과 봄에 시베리아 지역에서 불어오는 북서풍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즉, 겨울에 중국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수많은 박테리아를 포함하는 데가 겨울의 건조한 기후로 인해 박테리아가 공기 중에 부유하게 된다는 것이다.

김호 교수는 "동아시아 주요 세 도시의 미세먼지에 섞인 박테리아의 다양성과 유사성을 확인한 데 의미가 있다"며 "다만 기상학적 관점에서 박테리아의 이동이 가능하다고 해서 중국의 박테리아가 한국과 일본에 날아왔다고 단정하기는 힘든 만큼,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광수 기자 park.kw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