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시작되는 ‘신고리 5·6호기 공론조사’…향후 방식과 일정은

중앙일보

입력

지난 17일 서울 종로구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에서 김지형 위원장(사진 왼쪽)이 5차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7일 서울 종로구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에서 김지형 위원장(사진 왼쪽)이 5차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신고리 원전 5, 6호기 건설을 영구 중단할지, 재개할지를 판단하는 ‘공론조사’ 업무를 맡을 업체가 선정됐다. 이에 따라 공론조사는 25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이다.

공론화위, 조사업체 한국리서치 컨소시엄 선정 #25일 1차조사 시작해 9월 12일까지 2만명 응답 #시민참여단 추린 뒤 한 달 간 숙의 및 토론 거쳐 #10월 15일 최종 조사 후 20일 권고안 정부 제출 #찬반 비율, 오차 범위 등 권고안 구성 논의해야 #건설중단·재개 주장 단체와 소통 채널도 상설화

24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따르면 ‘신고리 5, 6호기 공론조사’ 대행업체 우선협상 대상자로 한국리서치와 월드리서치, 한국사회갈등해소센터로 구성된 한국리서치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한국리서치 컨소시엄은 입찰가격점수 19.5545점, 기술평가점수 78.5점 등 종합평점 98.0545점을 받아 우선협상 대상자로 낙찰됐다. 1978년 설립된 한국리서치는 지난해 매출액 660억원, 누적 조사 건수가 2만3026건에 달하는 국내 최대 여론조사 회사다. 김지형 신고리 5, 6호기 공론화위원장은 이날 6차 회의 이후 오후에 열리는 공식 브리핑에서 선정 업체를 직접 발표할 예정이다.

조사 업체가 선정됨에 따라 공론조사는 이번 주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공론화위는 지난 17일 5차 정기회의에서 신고리 5, 6호기 공사를 중단할지, 재개할지에 대한 응답 비율을 포함한 권고안을 10월 20일 정부에 제출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공론화위는 25일부터 1차 전화 조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조사 착수일부터 최대 18일 동안 약 2만명에게 유·무선 전화 조사로 신고리 5, 6호기 공사중단 또는 공사재개에 대한 응답을 받게 된다.

1차 조사 시작일인 25일부터 18일이 지난 시점은 9월 12일이다. 공론화위는 1차 조사를 하면서 시민참여단에 참가할 의사가 있는지 묻고 희망자 가운데 500명을 추려 시민참여단을 구성할 예정이다. 공론화위는 개인 사정 등으로 불참하는 사람을 빼고 실제 합숙 토론에는 350명 정도가 참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공론화위는 시민참여단이 구성되면 이들을 대상으로 오리엔테이션을 연 뒤 신고리 5, 6호기 문제에 대한 숙의 과정에 들어간다. 시민참여단은 한 달여 동안 자료집, 동영상 등 온·오프라인으로 5, 6호기 건설중단과 건설 재개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받는다. 시민참여단이 합숙 토론에 참여하기 전 충분히 정보를 알고 오도록 진도체크를 하는 ‘온라인 학습과정’도 공론화위가 설계하기로 했다.

이후 시민참여단은 빠르면 10월 13일 부터 금∼일요일 2박 3일간 합숙 토론을 벌인다. 이 과정에서 공론화위는 시민참여단에 추가로 조사를 할 계획이다. 합숙 마지막 날인 10월 15일에 최종 조사를 하며 그 전에 2차 조사도 시행한다. 조사 문항은 1차 때엔 10개 내외로 구성되고, 2차와 3차로 갈수록 주관적 의견을 묻는 문항이 늘어날 전망이다. 공론화위는 조사 결과를 정리한 뒤 이를 토대로 10월 20일 공사중단 또는 공사재개에 대한 응답 비율을 포함한 권고안을 정부에 제출한 뒤 해산하기로 했다.

관건은 권고안의 내용이다. 공론화위는 권고안에 찬반 비율을 담으면서 ‘몇 퍼센트 차이가 나면 양측 모두와 정부에 수용 가능할까’하는 점을 고민하고 있다. 공론화위 관계자는 “1∼3차 조사 결과가 나올 때마다 발표할지, 오차범위를 어떻게 설정하지는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공론화위는 향후 논의를 거쳐 관련 사항을 결정할 예정이다.

공론화위는 이와 별도로 신고리 5, 6호기 건설중단과 재개를 주장하는 단체들과 소통채널을 상설화해 만들기로 했다. 앞서 공론화위는 ‘안전한 세상을 위한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시민행동’을 건설중단 요구 대표로, 한국원자력산업회의·한국원자력학회·한국수력원자력 관계자들을 건설재개 요구 대표로 정해 각각 간담회를 가졌다.

이들의 요구에 따라 공론화 과정에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할 수 있도록 정례적인 협의 채널로서 ‘이해관계자 소통협의회’를 운영할 예정이다. 소통협의회는 매주 1차례 이상 회의를 열게 된다. 다음달에는 전문가 토론회를 매주 개최하고, 토론회 장소도 서울 뿐 아니라 전국 4~5개 지역으로 넓힌다. 공론화위는 이번 주 중에 울산 울주군 서생면 신고리 5, 6호기 건설현장을 둘러보고 건설재개를 요구하는 지역 주민들도 만나기로 했다.

이승호 기자 wonderm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