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대북 제한적 군사옵션 때도 주한미군까지 위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오후 청와대 본관에서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 동아태소위 에드워드 마키 단장(오른쪽 둘째) 등 대표단을 접견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오후 청와대 본관에서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 동아태소위 에드워드 마키 단장(오른쪽 둘째) 등 대표단을 접견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21일 “미국의 아주 제한적 범위의 군사적 옵션 실행도 남북 군사 충돌로 이어지고 이는 한국인뿐 아니라 한국 내 외국인과 주한미군의 생명까지 위태롭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의회 대표단 만난 자리서 밝혀 #NSC선 “을지훈련은 방어적 성격 #군사적 긴장 고조 의도 전혀 없다” #한·일의원연맹 일본 대표단도 접견 #“위안부 합의, 한국인 기대와는 멀어”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에드워드 마키 미국 상원의원(외교위원회 동아태 소위 간사) 등 의회 대표단을 접견한 자리에서 “미국이 북핵 포기를 위해 (군사력을 포함한)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있다는 입장을 취하는 것은 이해한다”면서도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6·25전쟁의 폐허를 딛고 성장한 대한민국을 다시 폐허로 만들 수 없는 노릇임을 감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키 의원은 대표적 ‘대화파’다.

문 대통령은 앞서 청와대에서 을지 국가안전보장회의(NSC)와 국무회의를 잇따라 주재한 자리에서 “을지훈련은 방어적 성격의 연례 훈련으로, 한반도에서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려는 의도가 전혀 없다”고 말했다. 을지프리덤가디언(UFG) 한·미 연합훈련을 시작한 이날 문 대통령의 발언은 ‘UFG는 북침 연습’이라는 북한 주장에 대한 반박이다. 문 대통령은 “북한은 평화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왜곡해서는 안 되며, 이를 빌미로 상황을 악화하는 도발적 행동을 해서도 안 된다”며 “오히려 북한은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 때문에 한·미 합동 방어훈련을 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북한이 UFG 중 도발한 전례를 반복하지 말 것을 강하게 경고한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정경두 신임 합참의장과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에게 화상 보고를 받은 뒤 “한·미 연합군은 강력한 방위 태세를 유지하는 한편 북한의 도발 시 즉각적이고 단호한 격퇴가 이뤄질 수 있도록 완벽한 대응 태세를 갖춰 나가 달라”고 당부했다. 다만 “대화의 문은 항상 열려 있다”며 대화 기조를 유지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용기 있는 선택을 한다면 한반도를 둘러싼 군사적 대립이 완화되고 우리 스스로 한반도 평화를 지켜낼 수 있다”며 ‘베를린 구상’을 재차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일본 자민당 소속 누카가 후쿠시로(額賀福志郞) 의원 등 한·일의원연맹 일본 측 대표단을 만나서도 북핵 문제에 대한 협조를 당부했다. 단 한·일 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합의에 대해선 “일본군 위안부 문제 관련 양국 합의가 있었지만 한국인의 기대와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며 “한국 국민은 정서적으로 그 합의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한국 국민은) 왜 그 시기에 할머니들에게 충분히 알리지 않았는지 의아해한다”며 “피해 당사자인 위안부 할머니들과 충분히 협의해 동의를 받았어야 했는데 그런 과정이 없었고 합의 경위를 파악하기 위한 외교부 태스크포스(TF)의 결과를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일주일 만의 사과=문 대통령은 이날 ‘살충제 계란’ 파동과 관련, “국민께 불안과 염려를 끼쳐 드린 데 대해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 14일 경기도 남양주 농가에서 생산한 계란에서 살충제(피프로닐) 성분이 검출된 지 일주일 만이다. 문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이낙연 국무총리에게 “관계부처 TF를 구성해 식품 안전에 대한 종합 계획과 집행을 위한 국가식품관리 시스템을 마련하고 직접 확인·점검·관리해 달라”며 ‘컨트롤타워’를 맡겼다.

문 대통령은 16일 이 총리에게 전화를 걸어 “범정부적 종합 관리와 모든 조치를 취해 달라”고 지시했다. 17~18일에는 청와대 참모진과 도시락 오찬 간담회를 겸한 대책회의를 통해 “공장형 사육, 밀집·감금 사육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강태화·위문희 기자 thk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