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국내산 달걀서도 살충제 성분 검출…정부 "오늘 0시부터 모든 농장 달걀 출하 중지"

중앙일보

입력

국내산 달걀에서도 살충제 '피프로닐(Fipronil)' 성분이 검출됐다. 유럽서 검출돼 논란이 인 것과 같은 살충제로, 국내에서 피프로닐이 검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피프로닐은 가축에 기생하는 벼룩이나 진드기를 비롯한 해충을 없애는 데에 쓰이는 약품으로, 식용 목적의 가축에 대한 사용이 금지됐다.

정부, 산란계 3000수 이상 사육하는 모든 상업농장 대상으로 3일 이내에 전수 검사 나설 방침

살충제 '피프로닐' 성분에 오염된 계란이 시중에 유통된 사실이 발표되면서 유럽이 '살충제 계란'으로 홍역을 치르는 가운데 8일(현지시간) 벨기에의 한 농가에서 계란 검수를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살충제 '피프로닐' 성분에 오염된 계란이 시중에 유통된 사실이 발표되면서 유럽이 '살충제 계란'으로 홍역을 치르는 가운데 8일(현지시간) 벨기에의 한 농가에서 계란 검수를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는 15일 경기 남양주시의 농가 1곳에서 피프로닐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8만수 규모의 산란계를 사육하는 이 농가는 하루 평균 달걀 2만 5000개를 생산한다.

이밖에도 경기 광주시의 농가 1곳에선 비펜트린(Bifenthrin)이 0.0157mg/kg 검출돼 기준치(0.01mg/kg)를 초과했다. 비펜트린은 닭에 기생하는 진드기의 살충제로, 허용 기준치 이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이 농가의 산란계 사육 규모는 6만수로, 하루 평균 1만 7000개의 달걀을 생산한다.

정부는 해당 농가에서 생산된 달걀에 대한 유통 및 판매를 잠정 중단시켰다. 또, 해당 달걀에 대한 정밀검사 결과를 실시해 부적합 판정시 전량 회수해 폐기할 방침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그동안 무항생제 인증농가 대상으로 잔류농약 검사를 지속 실시해 왔으며 피프로닐이 검출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이날 자정(오전 0시)부터 모든 농장의 달걀 출하를 중지시키고, 3000수 이상 산란계를 사육하는 모든 상업 농장을 대상으로 3일 이내 전수 검사를 실시해 합격 농장의 달걀만 출하를 허용할 방침이다.

박상욱 기자 park.lepremi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