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찍어도 2등급” 수능 아랍어 로또, 절대평가 도입하면 사라질 운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대학생 신의승(20)씨는 지난해 11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아랍어 과목을 선택했다. 하지만 그는 아랍어를 전혀 모른다. 수능 아랍어 문제(전체 30문항)를 모두 찍었다. 그럼에도 전체 9등급 가운데 중간보다 높은 4등급을 받았다.

문 대통령이 내세운 대선 공약 #아랍어 1등급 비율 가장 적어져

신씨처럼 지난해 수능에서 아랍어를 본 수험생은 모두 5만2626명. 아랍어를 포함한 제2외국어 영역 전체 응시자(7만3968명)의 71%에 달했다. 일본어(5987명), 중국어(3982명), 프랑스어(1288명), 스페인어(1263명) 등 나머지 언어를 합친 숫자의 두 배가 넘는다.

하지만 새 정부가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대로 ‘수능 절대평가’를 도입하면 이 같은 ‘아랍어 쏠림’ 현상이 사라질 전망이다. ‘아랍어 로또’는 상대평가에서 나온다. 응시자 대부분이 신씨처럼 아랍어를 공부한 적 없는 수험생이어서 운 좋게 잘 찍으면 높은 등급을 받는다. 신씨는 “내 친구도 아랍어를 다 찍었는데 2등급을 받았다. 아랍어는 일종의 로또”라고 말했다.

아랍어는 그동안 다른 외국어에 비해 낮은 점수로도 높은 등급을 받을 수 있었다. 본지가 종로학원하늘교육과 함께 지난 3년간 수능 제2외국어 과목의 등급컷 점수(원점수 50점 만점 기준)를 분석한 결과 일본어나 중국어·독일어·프랑스어 등은 45~48점을 넘어야 1등급을 받을 수 있었다. 반면 아랍어는 23~31점만 넘으면 1등급이었다.

그런데 외국어 영역에 절대평가를 적용하면 아랍어에서 ‘로또’가 사라지고 오히려 다른 언어보다 좋은 등급을 받기 어렵게 될 것이 확실하다. 지난해 수능 채점 결과에 절대평가를 적용하면 아랍어는 1등급 비율이 전체 외국어 중 제일 적어진다. 절대평가 기준 1등급(원점수 40점 이상) 수험생 비율이 독일어는 30.4%, 프랑스어는 25%, 중국어는 24.8%인 데 반해 아랍어는 2.3%로 확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경일 대신고 교사(일본어)는 “수험생이 공부하지도 않은 아랍어를 선택하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서라도 절대평가를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남윤서·이태윤 기자 nam.yoonseo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