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을 왕따시켜라"... '갈라치기' 나서는 민주당

중앙일보

입력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왼쪽)가 21일 오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일자리 위원회와의 간담회를 마친 뒤 국회로 돌아와 국민의당 원내대표실을 찾아 김동철 원내대표와 회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왼쪽)가 21일 오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일자리 위원회와의 간담회를 마친 뒤 국회로 돌아와 국민의당 원내대표실을 찾아 김동철 원내대표와 회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의 대야(對野) 전략이 선회하고 있다. 당초 '협치'를 주장하며 야 3당 에게 포괄적 협조를 요구했으나, 자유한국당은 협상 대상에서 아예 배제하고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을 설득하는 분리대응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일종의 '자유한국당 왕따시키기'다.

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는 21일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와의 정책간담회에서 ‘일자리 추경안’과 관련해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비판을 하면서도 협조 의지를 보이는데, 자유한국당은 아무것도 하지 않겠다는 강짜를 부리며 논의를 가로막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앞서 20일에도 자유한국당에 대해서는 "나라야 어찌 되든 말든 정부 발목만 잡으면 그만인가"라고 공격했지만,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에는 "무조건 반대인 자유한국당은 그렇다 쳐도 장관 인선에 대한 이견이 있을 수 있지만, 국회를 올스톱할 만한 일인지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에 묻는다”고 했다.

우 원내대표는 20일 국민의당 김동철 원내대표, 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와 3자 회동을 갖고 추경심사와 정부조직법 등의 처리를 호소했고, 21일엔 김동철 원내대표와 점심을 별도로 갖기도 했다.

민주당이 이 같은 야야(野野) 갈라치기에 나선 건 포괄적 협치만 내세우다가는 6월 임시국회에서 한건의 법안도 처리하지 못하는 ‘빈손 국회’가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당초 여야는 대선 당시 5당의 ‘공통공약’을 반영한 기초연금법 개정 등 민생 법안을 6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할 방침이었지만 인사청문회 등이 난항을 겪으며 논의도 못 했다.

국민의당 김동철 원내대표,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 자유한국당 정우택 원내대표가 19일 국회의장-원내대표 회동을 앞두고 웃고 있다. 오종택 기자

국민의당 김동철 원내대표,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 자유한국당 정우택 원내대표가 19일 국회의장-원내대표 회동을 앞두고 웃고 있다. 오종택 기자

민주당 최상의 시나리오는 186석 확보다. 민주당 의석(120석)에 정의당(6석)을 기본으로 두고, 국민의당(40석)과 바른정당(20석)을 몽땅 합치는 거다. 수치상으로 국회선진화법(전체 의석의 5분의 3 이상)도 훌쩍 뛰어넘을 수 있는 의석수다. 민주당 윤관석 민생상황실장은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반대해야 존재감이 생긴다고 판단하는 것 같지만, 국민의당은 국회 공전에 대한 부담이 있을 것”이라며 "바른정당 또한 반대하면서도 '절차에는 참여하겠다'는 입장이라 두 야당과는 생산적 논의와 전략적 제휴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안에서도 "정권에 반대하는 강한 야당"을 주장하는 강경파와 "무조건 싸우면 오히려 지지층이 이탈할 것"이라는 온건파가 공존하고 있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인사배제 5대 원칙을 어긴 데 대한 대통령의 사과가 있으면 언제든 협치하겠다. 우리에게도 명분을 줘야하지 않느냐"고 말했다.

다만 분리전략의 성공여부는 불투명하다. 20일 오전 우 원내대표가 자유한국당을 제외한 국민의당, 바른정당 원내대표와 회동했으나 정작 이날 오후 야 3당은 의기투합해 여당의 반대를 무릅쓰고 국회 운영위를 열었다. 21일 오후로 예정돼 있던 4당 원내대표간 회동도 갑자기 취소됐다. 여당 의도에 쉽사리 넘어가지 않으려는 야당의 연대의식도 호락호락하지 않은 셈이다.

채윤경 기자  pch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