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사랑을 잃은 소년이 펑펑 울던 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나현 기자의 훔치고 싶은 미장센

연연풍진(1986, 허우 샤오시엔 감독)

'연연풍진' 스틸

'연연풍진' 스틸

대만의 거장 감독 허우 샤오시엔은 인물 클로즈업을 잘 쓰지 않기로 유명하다. 카메라와 인물 간의 이상적 거리를 추구하는 감독이란 평을 듣는 건 그래서일 것이다. 하지만 허우 감독의 영화를 좋아하는 건, 비단 그 거리나 풍광 때문만은 아니다. 그가 잡아내는 프레임은 삶 그 자체로 보게 하는 힘이 있다. 그 순간 실재하는 삶의 공간처럼 보인달까. 초기작 ‘연연풍진’도 마찬가지다. 이 영화는 1960년대 대만 광산 마을의 소년과 소녀의 슬픈 사랑을 그린다. 주인공 완(왕정문)과 후엔(신수분)은 어린 시절부터 가까이 지낸 듯 가족끼리도 잘 알고 있다. 둘은 이웃이자 친구고 연인이다. 한국으로 치면 중학교를 졸업한 완은 고등학교에 진학하지 않고 후엔과 함께 타이페이에 간다. 또래의 친구들과 함께 살며 돈을 벌고 술을 마시다 고향을 그리워하는 하루하루. 일상을 함께 하며 사랑은 깊어간다. 카메라는 이 모습을 담담하게 바라본다. 조금 떨어져 그들의 세상을 조망하듯이. 그래서 완이 후엔을 쉼없이 걱정하며 사랑할 때도 이 영화는 정서적 동요를 강요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 장면(사진)은 아주 예외적이다. 완은 대만 징병제에 따라 입대한다. “여자 친구한테 두 달 째 편지가 오지 않는다”는 동료 병사의 말. 이윽고 카메라는 완의 얼굴에 집중한다. 멍한 표정으로 운전을 하다 내무반에 들어와 심드렁하게 눕는 완. 내레이션으로 후엔의 동생이 누나가 다른 남자와 결혼했다는 소식을 전하는 편지 내용이 들린다. 끝내 완은 눈물을 터뜨린다. 울음은 거세진다. 보는 이의 마음도 무너져 내린다. 아마 허우 감독의 영화 중 이토록 격정적인 장면은 잘 없을 것이다. 조금 잔인하게도 느껴진다. 가난한 시골 마을의 소박하고 따뜻한 시간, 그 속의 사랑이 깃든 모든 삶은 멀리서 보여 주다 유독 사랑을 상실한 슬픔만을 가까이서 보여주다니. 곧바로 이어지는 숏은 석양을 머금은 산의 전경이다.
허우 감독이 그리는 세계는 이토록 무심하다. 거센 슬픔을 담은 클로즈업 후 전경 숏, 이 기묘한 숏의 배치는 이렇게 말하는 듯하다. 찢어지도록 아픈 소년의 마음과는 상관없이 자연과 세상은 전과 다르지 않게 존재한다고. 이 영화는 허우 감독의 자전적 영화로 알려져 있다. 30여년 전 그는 슬픔으로 뒤엉킨 자신의 과거를 이렇게 반추했다. 바람 속에 먼지 같은 것이었다고.

허우 샤오시엔 감독 작품에선 #흔치 않은 격정적 장면 #청춘의 슬픔에 무심한 세계를 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