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ㆍ일본ㆍ독일에서 로봇 혁명이 고령화 문제 해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인구 고령화로 경기 둔화가 우려되는 일본과 독일, 한국에서 로봇 기술 혁명이 탈출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와 달리 아시아와 동유럽의 신흥시장은 로봇 혁명 탓에 제조업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고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경고했다.

무디스 보고서 "고령화 속도 빠르고 #첨단 기술 제조업 비중 큰 나라, #로봇 기술이 노동력 감소 상쇄"

30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무디스는 최근 발표한 ‘신흥시장에 대한 로봇 기술의 영향’ 보고서에서 “인구 고령화가 일본·독일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제조 강국인 두 나라는 로봇 혁명으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최적의 후보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산업 자동화와 로봇 기술 혁명은 노동력 감소가 경제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는 쿠션 역할을 하게 되며, 인간이 하던 일을 로봇이 대신 함으로써 노동력 감소의 부정적 효과를 보상해준다는 분석이다.

아디다스가 독일에서 시범 가동중인 스피드팩토리. 자동화된 로봇 기술로 운동화를 만든다. 공장이 정식으로 가동되면 최소한의 인력이 배치될 예정이다. [중앙포토]

아디다스가 독일에서 시범 가동중인 스피드팩토리. 자동화된 로봇 기술로 운동화를 만든다. 공장이 정식으로 가동되면 최소한의 인력이 배치될 예정이다. [중앙포토]

한국·일본·독일은 생산가능인구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지만 제조업 비중은 큰 나라다.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2030년께 한국 23.4%, 독일 28.2%, 일본 30.7%로 초고령사회가 된다. 첨단 기술 제조업의 수출 비중이 크다는 공통점도 있다. 한국은 30%, 독일은 25.9%, 일본은 11%다.

이런 배경에서 산업용 로봇 기계 도입에 적극적이었다. 세계 산업용 로봇 기계 매출액의 75%가 한국·일본·독일·미국·중국 5개국에 집중돼 있다. 특히 2013년 이후 한·중·일이 산업용 로봇 기계의 절반을 구입해 운용하고 있다. 무디스는 “로봇 기술 혁명이 저임국 국가에서 아웃소싱했던 일자리를 본국으로 되돌리는 역할을 하게 됐다”며 “다만 일자리 숫자는 저임금 국가로 일자리가 빠져나가기 전보다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기아자동차 슬로바키아법인에 설치된 자동차 조립용 로봇. [중앙포토]

기아자동차 슬로바키아법인에 설치된 자동차 조립용 로봇. [중앙포토]

제조 강국이 로봇기술 도입을 늘리면 신흥시장의 일자리는 흔들릴 수밖에 없다. 한국·일본·독일 기업이 로봇 기술을 도입해 직접 제조하는 물량을 늘리면 이들 기업을 위해 첨단기술 제품을 제조하는 헝가리·체코·슬로바키아 같은 신흥시장 내 일자리가 줄어들 위험이 크다. 헝가리·체코·슬로바키아는 제조업 수출이 국내총생산(GDP)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인도·인도네시아 같은 저임금 국가도 같은 이유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무디스는 “신기술 도입으로 생산 방법과 무역 패턴이 바뀜에 따라 신흥시장의 제조업 수출 점유율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박현영 기자 hypar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