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룩스 “안보엔 넉넉한 시간 허용 안 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빈센트 브룩스

빈센트 브룩스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은 25일 주한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와 관련해 “국가 안보라는 것은 넉넉한 시간이 허용되는 게 아니다”고 말했다. 이날 예비역 장성들의 모임인 성우회와 한국국방연구원이 공동으로 주최한 세미나 기조연설에서다. 한국의 새 정부가 사드 배치에 대한 절차상 문제를 지적하며 국회 비준을 추진하는 등 속도 조절을 하는 움직임에 대해 불편함을 드러낸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사드 배치 유일한 목표는 한국 방어” #새 정부 속도 조절에 불만 표시한 듯

브룩스 사령관은 “사드 배치의 유일한 목표는 한국 방어”라며 “북한 탄도미사일이 워낙 심대한 위협을 가하고 있어 시급히 한국을 방어해야 한다는 목표 아래 사드 배치를 최대한 신속히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드 배치는 철통 같은 한·미 동맹, 미국의 한국 방어 의지를 나타내 주는 것으로, 이를 통해 북한 탄도미사일 방어를 위한 지역방어 개념의 작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양국은 지난해 2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직후 사드 배치를 협의해 왔으며 미군은 올 들어 경북 성주에 사드 레이더(AN/TPY-2)와 발사대 6문 중 일부를 설치하고 야전 운영 중이다. 브룩스 사령관은 또 “한국은 국방예산으로 국내총생산(GDP)의 2.7%에 해당하는 거액을 투자하고 있다. 미국의 7개 동맹국 가운데 한국만큼 탁월한 의지를 갖고 동맹에 헌신하는 국가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분담금 인상 요구와는 결이 다른 발언으로 주목된다. 그는 이어 “북한이 보유하는 무기체계(핵·미사일)를 먼저 타격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며 대북 선제타격 가능성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고, 한·미·중·일·러 등 주변 5개국의 강력한 결집과 국제 공조를 통해 대북 압박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도 24일(현지시간) 북한과 이란, 시리아 등 3개국에 대한 제재 압박을 한층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므누신 재무장관은 미 하원 세입위원회에 출석, “미국을 보호하기 위해 이들 3개국을 추가로 제재하는 데 있어 모든 역량을 쏟아부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 재무부는 지난달에도 3건의 대북제재 행정명령을 발동, 북한 기업 1곳과 북한인 11명을 제재 대상에 새로 추가한 바 있다. 당시 3건의 행정명령은 북한의 석탄 기업 ‘백설무역’을 직접 타깃으로 삼았다. 또한 베트남·쿠바 등 제3국에 근무 중인 북한인들까지 정조준해 북한의 돈줄을 봉쇄하려는 의도로 평가됐다.

워싱턴=김현기 특파원, 서울=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