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가 많이 가르칠수록 학생은 적게 배우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4면

“많이 가르칠수록 적게 배운다는 말이 있죠. 교수 혼자 떠드는 강의로는 교수만 지칠 뿐, 학생은 제대로 배우지 못한다는 뜻이에요. 학습 책임자가 학생 자신이라는 걸 깨닫게 하려면 교수 스스로 많이 준비하고 노하우도 배워야 합니다.”

교수법 대상 받은 박남기 교수 #“강의는 기술 아닌 공동 예술 #학생과 퀴즈·질의응답 진행”

지난달 30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주최한 ‘제1회 대학교수법 및 학습프로그램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한 박남기(57·사진) 광주교대 교육학과 교수의 말이다. 이 대학 총장(2008~12)을 역임한 그는 1993년부터 예비교사에게 교육행정학, 학급경영론을 가르쳐왔다. 박 교수는 공모전에 출품했던 원고를 바탕으로 지난달 『최고의 교수법』이란 단행본도 출판했다.

박 교수는 5일 전화 인터뷰에서 “첫 시간이 한 학기 강의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학기 첫 강의 때 학생들의 이름과 환영 메시지를 출력해 칠판에 붙인다. 출석 체크는 성을 뺀 이름으로 부른다. 학생들에게 한 학기 강의에서 원하는 점을 담은 설문지를 받고, 모두 모여 기념사진도 찍는다. 박 교수는 “25년 이상 강의하면서 도달한 결론은 가르침은 만남이고 소통이고 나눔 ”이라며 “강의 시작 2주 후부턴 이름을 불러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 교수의 강의엔 또 다른 규칙도 많다. 일단 예습, 과제가 많은 편이다. 매번 수업 전에 읽을거리가 있고, 예습 여부를 확인하는 퀴즈를 치거나 ‘1분 보고서’를 요구한다. 학생과의 질의응답이 많은 것도 특징이다. 박 교수는 “이런 규칙을 적용하니 질문거리를 찾기 위해 예습도 충실히 하고, 강의 중 조는 학생도 사라졌다”고 전했다. 그는 또 “교수의 빠른 피드백도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요소”라며 “시험 결과나 제출한 보고서는 평가와 함께 1주일 내 돌려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의에서 각종 학습 어플리케이션, 블로그를 적극 활용하는 그는 마지막 수업에선 꼭 종강파티를 한다. 마지막 출석에선 학생 이름에 ‘선생’이란 호칭을 넣는다. 박 교수는 “교사가 되기 위한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강의 마지막은 미리 준비한 편지글을 학생에게 나눠주고, 박 교수가 직접 읽는다.

박 교수는 “강의는 어떤 기술이 아니라 학생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예술”이라며 “제4차 산업혁명에서 ‘인간 교사’가 살아남기 위해선 단순한 교수법이 아니라 가슴으로 가르치는 교수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천인성 기자 guch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